‘세 번째 살인’, 고레에다 히로카즈가 그리는 ‘죄와 벌’

[엔터미디어=정덕현의 그래서 우리는] (본문 중 영화 내용의 누설이 있습니다. 영화를 관람하실 분들은 참고 바랍니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신작 <세 번째 살인>은 미스미(샤쿠쇼 코지)가 공장 사장을 살해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그는 이미 젊은 시절 살인을 저질러 30년 간 감옥에서 지낸 바 있다. 출소한 후 다시 살인을 저질렀으니 그것이 미스미의 두 번째 살인이 되는 셈이다. 그리고 미스미는 순순히 붙잡혀 자신이 공장 사장을 살해했다는 걸 시인한다. 그러니 더 이상의 살인은 벌어지지 않는다. 그렇다면 도대체 ‘세 번째 살인’은 무엇을 이야기하는 것일까.

<세 번째 살인>은 해석할 여지가 많은 문제작이다. 살인과 재판 그리고 그 사이에 드러나는 진실들이 나온다는 점에서는 법정극의 틀을 갖고 있지만, 그 안에서 벌어지는 인물들의 예사롭지 않은 질문과 대답들 사이에서 이야기는 ‘심판’이나 ‘죄와 벌’ 같은 종교적인 영역으로까지 확장된다. 살인사건의 동기나 과정을 파고들어가지만 미스미라는 문제적 인간이 던지는 질문은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한다.

너무나 침착하고 차분한 모습의 미스미는 살인자의 느낌을 전혀 주지 않는다. 물론 그 무표정함과 냉철함이 어떤 섬뜩함을 만들지만, 그것은 마치 인간의 차원을 넘어선 어떤 세계를 경험한 자의 눈빛이기 때문에 만들어지는 두려움 같은 것이다. 그를 변호하는 변호사 시게모리(후쿠야마 마사하루)는 애초에 미스미가 왜 그런 일을 저질렀는지에 대한 건 그다지 관심이 없다. 오로지 목적하는 바인 사형만을 면하는 것이 그가 미스미 사건을 변호하는 이유다.



진술을 듣는 와중에 시게모리는 미스미에게 점점 더 몰입하기 시작한다. 공장사장의 살해현장에서 발견된 우연인 듯 보이는 십자가 형상을 보며 이상함을 느끼는 시게모리는 점점 혼돈에 빠져버린다. 미스미와 공장사장의 딸 사키에(히로세 스즈)가 아는 사이였고 사키에가 그의 아버지로부터 끔찍한 일을 당했다는 사실을 알게된 시게모리는 미스미가 사키에를 구하기 위해 응징을 한 것이라 생각하게 된다. 또한 과거 미스미의 살인 역시 억울하게 당한 가족들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되며 그가 과거 지키지 못했던 딸을 미스미와 동일시했다고 시게모리는 생각한다.

하지만 미스미의 집에서 그가 기르던 새가 죽어 묻은 곳에서 한 마리가 아닌 여러 마리가 나온 걸 확인한 시게모리는 그가 새들을 죽여 묻었다는 걸 알게 된다. 시게모리는 미스미가 그저 살인자라는 사실과 자신의 딸과 동일시한 사키에를 구원하기 위해 살인을 저질렀다는 두 관점 사이에서 혼동에 빠진다. 그렇지만 사키에가 미스미를 위해 자신이 당한 일을 법정에서 진술하겠다고 나서자 미스미는 갑자기 자신의 무죄를 주장한다. 시게모리는 미스미가 이렇게 진술을 번복한 것이 사키에를 보호하기 위해서라고 생각한다. 결국 사키에는 진실을 밝히지 않고, 시게모리가 예상한 대로 미스미는 무죄주장 때문에 오히려 사형 구형을 받게 된다.



그런데 이 미스미가 사형 구형을 받는 그 장면에서의 얼굴이 너무나 평온하다. 그것은 마치 자신이 원했던 결과가 이것이라는 그런 표정이다. 법정에서 미스미가 시게모리에게 감사의 말을 전하며 악수를 하는 대목에서 시게모리는 문득 깨닫는다. 미스미가 말보다 더 정확히 마음을 전할 수 있는 것이 손이라고 했던 말을.

<세 번째 살인>은 구체적으로 미스미가 무엇을 계획했고 그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를 보여주진 않는다. 그가 말했듯 영화 속에 등장하는 말들은 모호하기 이를 데 없다. 하지만 굳이 ‘세번째 살인’이라고 제목을 붙여 놓은 데서 알 수 있듯이 그것이 미스미가 스스로에게 내린 심판이라는 걸 어느 정도는 유추해낼 수 있다. 그는 공장사장을 이야기하며 “세상에는 태어나지 말았어야 하는 인간”도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그리고 그건 자기 자신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미스미라는 문제적 인간을 세워놓고 <세 번째 살인>은 시게모리라는 어찌 보면 현대인의 자화상처럼 여겨지는 냉정한 인물이 그의 실체에 접근해가는 과정을 담는다. 마지막 시퀀스에서 유리창을 사이에 두고 두 사람이 마주한 장면에서 카메라는 미스미의 얼굴에 근접해 거의 겹쳐지려는 유리창에 비춘 시게모리의 얼굴을 보여준다. 시게모리는 미스미가 무죄 주장을 통해 사키에가 과거의 상처를 증언할 필요가 없게 배려했다고 믿지만, 미스미는 그 ‘좋은 얘기’가 자신의 이야기는 아니라고 말한다. 그렇게 유리창에 비친 두 얼굴은 겹쳐지는 듯 보이지만 다시 멀어진다.



세상은 진실대로 움직이지 않고 죄와 벌은 등가로 심판받지 못한다. 미스미는 그래서 살인이라는 어쩌면 신만이 가진 심판을 제 손으로 내린다. 그러면서 거기 십자가를 새겨 넣는다. 그것이 마치 대속의 의미를 갖는 것처럼. 하지만 그것이 결코 용납될 수 없는 일이라는 걸 알기에 스스로에게도 심판을 내린다. 우리는 미스미가 살인을 저지르고 스스로를 심판하는 그 과정을 보며 생각하게 된다. 도대체 누가 누구를 심판할 수 있을 것인가.

영화는 지속적으로 십자가의 형상들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처음 살해된 공장사장이 불에 탄 자리에 남은 십자가 형상이 그렇고, 미스미의 집 죽은 카나리아를 묻은 작은 무덤 위에 새겨진 십자가가 그렇다. 그리고 마지막 장면에는 이제 십자로에 서서 어디로 가야 할지 알 수 없는 시게모리의 모습을 통해 십자가의 형상이 그려진다. 도무지 인간이 판정하고 판결할 수 없는 무력함 속에서 어쩌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란 십자가 형상을 긋는 것 정도라는 걸 드러내듯. 오랜만에 많은 걸 생각하게 만드는 영화를 만났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영화 <세 번째 살인>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