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속의 작은 집’, 저들이 이상한 걸까 우리가 이상한 걸까

[엔터미디어=정덕현] 이상한 즐거움이고 이상한 재미다. 도시에서와 정반대로 살아보는 재미와 즐거움. 뭐든 돈만 주면 다 만들어진 것들을 척척 살 수 있는 도시에서라면, 직접 물건을 만드는 일이 번거롭고 귀찮은 일 정도로 여겨질 지도 모른다. 하지만 숲 속에 덩그라니 놓인 작은 집에서 떨어진 나뭇가지를 주워 톱으로 썰어 원하는 모양을 만들고 선반 지지대에 걸어 옷걸이 하나를 만드는 일이 꽤 즐겁다. tvN 예능 <숲속의 작은 집>이 보여주는 새로운 재미거리다.

늘 그냥 놓여져 있던 외투가 눈에 걸렸다는 박신혜. 만일 그런 작은 집이 아니라 도시의 아파트였다면 그런 게 별로 눈에 들어오지도 않았을 일이다. 이미 마련된 수납장이나 장롱에 걸어두면 되는 일이니 말이다. 하지만 이 작은 집에는 없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렇다고 외투 하나를 수납할 수 있는 걸 나가서 사오는 일도 일이다. 그래서 간단하게 내 손으로 만들어본다. 그런데 늘 다 만들어진 것을 사기만 했던 때와 달리, 의외로 품을 파는 일이 즐겁다. 그리고 그렇게 만들어진 물건이 훨씬 내 것 같이 다가온다. 내 손길이 닿은 나만의 물건이기 때문이다.



만드는 과정이 주는 즐거움도 빼놓을 수 없다. 옷걸이를 만들고 세면대 옆에 수건걸이를 또 만드는 박신혜는 나무의 거친 껍질 면을 사포로 밀어 부드럽게 만든다. 그런데 그렇게 나무껍질을 미는 소리가 그 껍질에 따라 다르다. 아무런 소리도 틈입하지 않는 숲 속에서 그 소리들의 차이가 미세한 것까지 느껴진다. 도시에서 우리가 청각의 즐거움이라고 하면 고작 귓구멍을 꼭꼭 막고 듣는 이어폰 음악소리 정도의 자극이어야 가능한 일이지만, 이 숲속에서는 그저 가만히 귀 기울이면 들려오는 오만가지 소리들이 즐겁다. 이름 모를 새의 울음소리, 풀벌레 소리, 빗소리, 장작이 타는 소리, 개울가 물 흐르는 소리... 소리가 주는 즐거움이 이렇게 컸던가.

<숲속의 작은 집>은 시작 전부터 나영석 PD가 단단히 얘기한 것처럼 ‘심심한 프로그램’이다. 그런데 그 ‘심심하다’는 표현은 꽤 상대적인 개념이다. 숲 속이기 때문에 도시에서 벌어지는 갖가지 사건들과 비교하면 심심하다는 것. 아니 도리어 이 프로그램은 도시의 그 끊임없이 벌어지는 사건들로부터 탈출해 적극적으로 심심함을 추구하고 있다고 보인다.



그런데 그 도시의 기준으로의 ‘심심함’을 추구하자, 그 심심함 속에 새로운 재미와 즐거움들이 발견된다. ‘한 번에 한 가지 일만 하기’ 같은 미션은 멀티태스킹이 우리의 일상이 되어버린 시대에 한 가지에 집중하는 재미를 다시금 되살려주고, ‘한 시간 동안 책 읽기’ 미션은 다른 모든 걸 지워버린 채 몰입하는 즐거움을 깨워준다. ‘3시간 동안 식사하기’ 미션은 바쁜 일상 속에서 먹는 일이 온전한 즐거움이 되지 못하고 ‘때우는 일’이 된 우리의 새로운 식감을 열어준다.

소지섭은 ‘빗속 산책’을 통해 색다른 재미와 즐거움을 찾았다. 마치 숲을 통째로 물에 우려낸 듯 밀려오는 그 냄새가 그를 기분 좋게 만들었고, 이름 모를 꽃과 풀과 이끼 위에 올라앉은 빗방울들이 ‘빛 방울’처럼 달라붙어 그것이 온전한 하나의 세계를 품어내는 신비로움을 목격하게 해줬다. 도시생활에서는 도무지 발견할 수 없고 느낄 수 없는 아름다움과 감각들의 향연이 그 ‘심심함’의 세계 속에 가득했던 것이다.



어찌 보면 <숲속의 작은 집>은 거기 피실험자로 등장하는 박신혜와 소지섭의 숲 속 일상이 이상하게 보일 수도 있다. 왜 공공 전기도 수도도 없는 곳에서 저러고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하지만 과연 이상한 건, 저들일까 아니면 우리들일까. 끊임없이 숲속 ‘심심함’ 속에 새로운 재미와 즐거움을 찾아내려 노력하며 “행복해질까요?”를 질문하는 이 프로그램이 되돌아보게 만드는 것들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