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스 먼저’, 죽은 자, 죽고 싶은 자, 죽어가는 자

[엔터미디어=정덕현의 네모난 세상] 죽은 자와 죽고 싶은 자 그리고 죽어가는 자. SBS 월화드라마 <키스 먼저 할까요?>는 어쩌면 이 세 죽음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물론 드라마는 ‘본격 어른 멜로’를 표방했지만, 어쩌면 어른들의 사랑이란 ‘죽음’을 항상 옆구리에 끼고 하는 사랑일 수 있으니.

안순진(김선아)의 딸은 죽었다. 아폴론 제과에서 만든 과자를 먹고 죽었지만 대기업은 그 죽음을 덮어버렸다. 그래서 안순진은 그 진실을 알리기 위해 사력을 다했고, 당시 광고를 만들었던 손무한(감우성)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묵살됐다. 그 와중에 이혼까지 한 안순진은 아무런 희망이 없었다. 그래서 죽고 싶었다. 눈 오는 날 아무도 오지 않아 자신을 고스란히 닮아버린 쓸쓸한 동물원에서 그는 손을 그었다. 그를 따라온 손무한이 그를 구해주었지만.

손무한은 자신이 죽어가는 걸 알게 됐다. 결코 죽지 않을 것처럼 살아왔지만 막상 죽음을 눈 앞에 두게 되면서 삶이 다시 보였다. 그가 무시했고 그래서 쉽게 지워버릴 수 있을 거라 믿었던 죽음이 고스란히 자신 앞에 놓였다. 그는 비로소 사죄해야겠다는 마음을 먹었다. 자신이 무시했던 죽음들에 대해서.



<키스 먼저 할까요?>는 ‘본격 어른 멜로’로 시작했지만 그 안에 ‘죽음’이라는 주제를 담게 되면서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죽음에 대한 의식들을 들여다보게 만들었다. 우리는 어째서 그토록 죽음을 지워버리려 애쓰며 살아왔던 걸까. 마치 절대 죽지 않을 것처럼 앞만 보고 살아가고 그러다 죽게 되면 마치 없던 사람처럼 쉽게 지워버리는 게 우리 사회가 죽음을 대하는 자세가 아니었던가.

하지만 죽음이란 그걸 옆에서 겪은 당사자들에게는 오랜 시간이 흘러도 결코 지워질 수 없는 경험이다. <키스 먼저 할까요?>의 안순진은 그래서 억울한 딸의 죽음을 잊지 못하고 계속 끄집어내 법정에 세운다. 하지만 그런 행동들을 아폴론 제과의 회장 같은 이들은 이해하지 못한다. 그 일을 왜 들추려고 하느냐며 오히려 과거의 그 문제가 다시 드러나지 않게 하기 위해 덮으려 한다. 또 다른 죽음을 만들어서라도.



우리의 상처 많은 현대사들이 그랬다. 백화점이 무너지고 다리가 붕괴되고 가스 폭발이 일어나고 지하철 화재로 참사가 벌어져도 금세 그 죽음의 기억들은 지워졌다. 아니 죽음을 드러내는 일 자체가 금기시되었다. 죽음이 없는 것처럼 부인하며 살아가다 보면 죽음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더 빨리 잊고픈 마음이 생겨나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 죽음들이 과연 사라졌던가.

<적당한 거리의 죽음>이라는 책을 쓴 건축학을 전공한 기세호라는 작가는, 우리 도시에서 이상하게도 ‘죽음을 떠올리게 하는 것들을 찾아볼 수가 없다’며 ‘현재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 죽음을 상기시키는 어떠한 사건, 사물과 마주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말한 바 있다. 그는 파리에서 묘지는 도시인들의 공원이지만 우리 도시에서 ‘죽음의 흔적들은 어딘가로 치워져 버렸다’고 한다. 툭하면 밀어버리고 새로운 걸 세우는 도시는 마치 사람의 흔적을, 누군가의 죽음을 지워내려는 강박에 걸린 도시처럼 보인다.



이 관점으로 보면 <키스 먼저 할까요?>는 딸의 죽음을 결코 잊지 못하고 죽고 싶은 한 여인이, 그 죽음을 무시하며 살다 이제 죽음을 맞게 된 한 남자의 사랑 혹은 사죄를 받는 드라마처럼 읽을 수 있다. 죽음을 지워버리려는 자들과 맞서 죽고 싶은 여인과 죽어가는 남자가 서로를 지지하며 싸워나가는 이야기. 죽음을 옆구리에 끼고 하는 진짜 사랑의 이야기.

물론 사람들은 여전히 죽음을 싫어하고 들여다보고 싶어하지 않는다. 다만 삶의 달달함만을 느끼고 싶어 한다. 그래서 멜로로 달려가던 이야기가 죽음을 마주했을 때 자못 당혹스러워 한다. 하지만 한번쯤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까. 사랑이 삶의 아름다운 빛을 그려낼 수 있는 건, 저 뒤에 암묵적으로 놓여진 죽음의 그림자가 깔려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죽은 자가 누울 자리는 산 자들이 결정하지만, 산 자들의 삶의 방향은 죽은 자가 제시할 수 있다.’ <적당한 거리의 죽음>을 쓴 저자가 말하듯 이제 죽음을 멀리 하기보다는 적당한 거리에서 바라봐야 하지 않을까. 어제는 세월호 참사 4주기였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S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