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법변호사’의 단순 명쾌 복수극, 시청자 사로잡은 까닭

[엔터미디어=정덕현] 이 드라마, 머뭇대는 일이 없다. 복수극이라는 장르가 보여주는 맛에 충실하다. 억지로 반전을 만들어내기 위해 꼬는 일도 없고, 갈등 요소를 갖고 질질 끌어 시청자들을 지치게 하지도 않는다. 단순 명쾌한 복수극. 아마도 tvN 토일드라마 <무법변호사>가 시청자들을 사로잡은 이유가 아닐까.

최근 장르물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특히 검사, 변호사 같은 직업군이 등장해 사회 정의를 추구하는 이야기들이 봇물을 이룬다. 장르물과 사회정의라는 코드가 만나 시너지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 하지만 그 사회정의를 담아내는 장르물마다의 방식은 사뭇 다르다. <무법변호사>가 취한 건 법정극의 사실성보다는 복수극이라는 장르적 특성이다.

눈앞에 엄마가 살해당하는 걸 보고 홀로 살아남은 봉상필(이준기)이 떠났던 기성시로 다시 돌아와 복수를 하는 이야기. 단순한 복수극의 틀이지만, 사적인 복수와 사회적 정의 구현이 봉상필이라는 캐릭터로 인해 제대로 봉합되어 있다. ‘무법’, 즉 ‘법으로 싸운다’는 이 인물의 주창과 함께 사적 복수는 기성시를 장악하고 있는 부패한 권력 시스템을 해체하는 방식으로 추구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복수극이 명쾌해지는 건, 확실한 적이 세워져 있기 때문이다. 차문숙(이혜영) 판사와 시장 자리를 노리는 안오주(최민수)가 그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안오주는 대놓고 폭력을 행사하는 조폭으로 등장하지만, 그 위에 존재하는 차문숙이라는 명망 있는 판사가 결코 쉽지 않은 적수의 면면을 드러낸다. 눈에 보이는 적은 대적하기 쉽지만, 실체를 숨기고 시민들의 지지까지 얻고 있는 적과 싸우는 일은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법변호사>는 이런 차문숙 같은 인물을 숨겨두고 차후에 반전 캐릭터로 활용하는 그런 극적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처음부터 그 안팎이 다른 인물을 드러내놓고 시청자들의 공분을 이끌어낸다. 뒤통수를 치는 반전보다는 복수극의 정공법을 따라가는 것. 차문숙과 안오주에 대한 공분이 커져갈수록 봉상필과 하재이(서예지)가 이들을 무너뜨리기를 시청자들은 기대하게 된다.

이렇게 머뭇거리지 않고 정공법을 택하는 방식은 하재이가 차문숙의 실체를 알아보고 봉상필과 손을 잡는 대목에서도 쉽게 드러난다. 어찌 보면 하재이의 오해는 봉상필과의 갈등 국면을 좀 더 이끌어낼 수도 있는 소재였다. 그것은 하재이와 차문숙의 관계이면서 동시에 하재이의 아버지인 하기호(이한위)와도 연관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드라마는 이런 갈등과 오해에 시간을 끄는 선택을 하지 않았다. 곧바로 하재이가 차문숙의 실체를 확인하고, 사실은 그가 자신의 어머니 실종과 관련 있다는 걸 알게 한 후 봉상필과의 연대를 공고하게 만들어버린 것. 물론 그 과정에서 두 사람이 곧바로 사랑하는 관계로 급진전하는 모습은 너무 빠르다 싶었지만, 그것이 <무법변호사>라는 드라마가 가진 특징일 수 있었다.

즉 <무법변호사>는 현실성을 따라가기보다는 시청자들이 원하는 판타지를 장르물 속에서 구현해 보여주는 방식을 따라가고 있다고 보인다. 기성시라는 가상공간을 마련해두고, 현실을 환기시키는 악역들을 세워놓은 후 이들을 법을 통해 처단해가는 과정을 통쾌한 복수극의 문법에 충실하게 그려내고 있는 것. 어쩌면 시청자들은 드라마를 통해서나마 이 통쾌함을 느끼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현실이 명쾌하게 주지 못하는 그 통쾌함을.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