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 함무라비’, 법정물에 담아낸 우리 사회의 부조리한 민낯

[엔터미디어=정덕현] 가해자의 고통과 피해자의 고통이 과연 등가의 저울에 올려질 수 있을까. JTBC 월화드라마 <미스 함무라비>는 사내 성희롱 사건의 판결이 벌어지는 법정을 통해 이런 질문을 던진다. 박차오름(고아라)은 가해자가 해고당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주장했지만, 한세상 부장판사(성동일)는 “한 가장의 밥줄을 끊는 일”은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가장의 밥줄’이라는 말이 꽤 그럴 듯하게 들리는 대목이었지만, 사실 그 가장의 다른 이름은 상습적인 성희롱 가해자였다. 법정에 나와 자신의 성희롱 사실이 가족에게까지 다 드러나는 그 일이 자신에게는 큰 고통이라고 강변하고 있었지만, 그건 어차피 가해자가 스스로 저지른 일에 대해 책임지고 감수해야할 고통일 뿐이었다.

희한한 건 법정에서 이상하게도 피해자가 더 피해를 보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마치 짜고 치는 고스톱처럼 피해자의 변호사는 아예 변론을 하지 않고 있었고, 가해자 측의 변호사는 피해자를 과잉 반응을 보이는 이상한 직원으로 몰아가고 있었다. 심지어 증인으로 나온 다른 직원들조차 가해자의 성희롱적인 발언을 그저 농담으로 받아들였다고 말할 정도였다.



결국 피해자는 그들의 말에 더 심각한 2차 피해를 겪게 됐다. 그 누구도 자신의 입장을 대변해주지 않고 사측의 사주를 받은 가해자의 입장만을 두둔하는 상황. 심지어 그와 가장 가까웠던 선배 사원조차 등을 돌리는 모습에 눈물만 쏟아낼 수밖에 없었다. <미스 함무라비>의 이 법정 풍경은 하나의 판결 사례처럼 그려진 것이지만, 사실은 우리 사회가 가진 가해자와 피해자가 뒤바뀌는 부끄러운 민낯을 드러낸 면이 있다. 가해자는 억울하다 주장하고 오히려 피해자가 또 다른 피해를 입는 상황을 우리는 현실에서 자주 목도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미투 운동을 통해 드러난 것처럼 성폭력 같은 사안에서 이런 문제가 도드라져 보이지만 사실 그 근원을 찾아 들어가면 비뚤어진 권력 구조가 거기 자리하고 있다는 걸 발견할 수 있다. 결국 이 법정에서 피해자가 일방적인 피해를 계속 당하게 된 건, 가해자가 가진 권력이 여전히 회사와 결탁되어 발휘되고 있어서다. 증인으로 나온 직원들은 거짓 증언을 하고 심지어 피해자를 정신병자로 몰아가야 자신들이 생존할 수 있을 거라는 사측의 반 협박을 받고 있었다.



결국 법정의 이상한 분위기를 감지한 판사들은 섣불리 판결을 내리지 않고 다시 기일을 잡아 사측의 술수를 파헤쳤다. 다시 법정에 나온 여직원의 마음이 흔들리고 결국 자신 또한 인턴 시절 가해자에게 당했던 성희롱의 증거를 문자메시지를 통해 보여준 것. 흥미로운 건 이 과정에서 가해자의 아내 역시 변호사에게 성희롱과 성추행을 당했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점이다. 권력에 의한 성폭력이 만연한 사회 속에서 그런 일들은 부메랑처럼 가해자에게도 똑같이 벌어질 수 있다는 걸 이 사례는 보여준다.

사실 장르물들이 드라마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하면서 법정물은 눈에 띄게 늘어났다. 하지만 <미스 함무라비>는 법정을 소재로 하고 판사가 주인공인 드라마지만, 우리가 흔히 말하는 ‘법정물’이라는 장르적 재미를 추구하기보다는 ‘현실 공감’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재 미투 운동을 포함해 권력을 이용한 갑질 사례들이 등장하면서 문제가 되고 있는 건 가해자와 피해자가 역전되는 상황이 아닐 수 없다. 가해자들은 여전히 그 권력의 언저리에서 살아가지만, 피해자들은 오히려 2차 피해를 입는 상황들. 여기서 전가의 보도처럼 나오는 것이 가해자들 역시 고통 받고 있다는 뉘앙스다. 하지만 어찌 가해자와 피해자의 고통을 같은 저울에 올릴 수 있을까. “가해자의 고통과 피해자의 고통은 같은 저울로 잴 수 없다”는 이 드라마의 주장에 고개가 끄덕여지는 이유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JT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