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케치’의 미래예측, 어째서 현실의 사건들을 떠올리게 할까

[엔터미디어=정덕현] 사실 현실성을 잣대로 대면 JTBC 금토드라마 <스케치>는 더 이상 할 수 있는 이야기가 없다. ‘미래를 그린다’는 그 설정 자체가 현실을 벗어난 판타지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부분을 일단 드라마적 장치로 인정하고 봐야 <스케치>는 그 독특한 작가와 시청자 사이의 밀고 당기는 두뇌 게임에 빠져들 수 있다.

굳이 ‘두뇌 게임’이라는 표현을 쓰게 되는 건, <스케치>의 그림으로 그려지는 미래라는 판타지 설정이 미래를 예측함으로써 사건의 단서를 미리 제공하는 것이면서 동시에 시청자를 엉뚱한 방향으로 오인하게 만드는 일종의 떡밥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테면 약혼자의 죽음에 광분한 강동수 형사(정지훈)가 총을 겨누고 있고 바닥에 쓰러진 김도진(이동건)이 머리 뒤쪽으로 피를 흘리는 듯한 미래를 그린 그림은, 강동수가 김도진을 죽인 것처럼 오인하게 만들지만 결국 그 머리 뒤쪽의 어두운 액체는 피가 아니라 물감이었다는 게 밝혀진다는 반전이 그렇다.

시청자들은 강동수가 살인을 저지를 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갖고 이 ‘스케치팀’이 이를 막아주기를 간절히 바라며 바라보게 된다. 그래서 그 미래를 그리는 그림은 긴장감을 높이는 장치로 활용된다. 물론 그건 일종의 트릭이다. 드라마에 좀 더 몰입감을 높이기 위한.



이런 트릭은 성범죄자들에 의해 비극을 맞게 되는 김도진의 아내와 또 김도진에 의해 살해되는 강동수의 아내의 이야기 속에서도 활용된다. 스케치에 들어간 시간이 어느 날의 시간을 알려주는 것인지 오인하게 만들고 그래서 어떤 일이 먼저 벌어지고 그로 인해 또 다른 일이 벌어졌는지 인과관계의 순서가 바뀌면서 생겨나는 혼선들이 이 추격전을 더 쫄깃하게 만든다.

즉 보통의 살인사건이 벌어지는 스릴러들이 사건이 벌어지고 나서 범인을 추적하는 과정을 통해 긴장감을 높이는 반면, <스케치>는 미리 그림으로 예고된 살인을 본 후 그 사건이 벌어지지 않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방식으로 긴장감을 높인다. 그래서 스케치로 미래를 그리는 능력을 가진 유시현(이선빈)이 결국 자신이 죽는 장면을 그리는 방식의 설정은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물론 그가 죽는다는 건 일어나기 어려운 일이겠지만.



현실성을 찾기가 어려운 판타지지만, 그래서 더더욱 중요해지는 건 이 판타지를 갖고 도대체 어떤 현실의 지점들을 이야기하려는가 하는 점이다. 우리는 현실에서 벌어진 무수한 사건사고들이 우연적인 일이 아니라 이미 과거부터 누적되어온 어떤 엇나감이 축적되어 생겨난 결과였다는 걸 알고 있다. 그런데 만일 이처럼 예측 가능한 미래를 우리는 과연 바꿔낼 수 있을까.

유시현과 스케치팀은 피해자의 입장에서 미래에 벌어질 비극을 막으려 안간힘을 쓴다. 피해자가 당할 위험을 막기 위해 노력하는 것. 하지만 장태준(정진영)과 김도진(이동건)은 가해자가 밝혀지고 붙잡힌다 해도 이미 벌어진 피해자들의 피해는 되돌릴 수 없다는 걸 알고 있다. 그래서 그 미래에 사건을 저지를 가해자를 사전에 살해하려 한다. 강동수는 그 중간에 끼어 있다. 살해당한 약혼녀의 복수를 위해 김도진을 추적하지만 또한 무고한 피해자가 생겨나는 걸 막으려 노력한다. 그는 미래에 벌어질 살인자를 처단한다는 김도진의 선택에 어떤 결정을 할까.

자신은 이미 약혼녀가 죽었을 때 죽었다고 말하는 강동수에게 상처란 이미 벌어지면 치유될 수 없는 어떤 것이다. 그렇다면 김도진의 선택을 이해할 수도 있는 일이지만, 그건 또한 ‘벌어지지 않은 일에 대한 응징’으로서 그저 ‘살인’과 다르지 않다는 걸 그는 알고 있다. 즉 약혼녀가 죽은 것은 ‘아직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그가 앞으로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미래에 대한 막연한 예측 때문이었다. 그러니 강동수는 김도진 앞에 어떤 딜레마를 느낄 수밖에 없게 된다.



<스케치>는 미래를 그린다는 판타지를 통해 스릴러가 갖는 긴장감을 새로운 방식으로 높여놓았다. 거기에 사용된 적당한 트릭들은 그림의 진짜 의미가 무엇일까에 대한 궁금증 또한 높여준다. 그리고 그 미래를 미리 안다는 사실 앞에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를 질문한다. 제약회사가 만들어낼 신약으로 무수한 어린이들이 사망할 것이라는 예고는 그래서 의미심장하다.

그건 마치 가습기 살균제 사건을 떠올리게 하기 때문이다. 그런 일들은 굳이 스케치 같은 판타지가 아니라고 해도 어느 정도는 예고될 수 있었던 사건은 아니었을까. 그걸 어느 정도 알았다면 어째서 아무런 행동도 하지 않았던 걸까. 강동수든 김도진이든 유시현과 스케치팀이든 자기 방식으로 미래를 바꾸려 애쓰는 모습은 그래서 지금도 어딘가에서 원인으로 방치되어 후에 사건이나 사고로 이어질 일들에 대한 일종의 경고처럼 보인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JT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