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 함무라비’의 현실 비판의식 어째서 여타 드라마와 다를까

[엔터미디어=정덕현] 문유석 판사가 아니었다면 이런 작품이 가능했을까. JTBC 월화드라마 <미스 함무라비>는 법정물로는 이례적이다. 대부분의 법정물이 특정 사건을 통한 스릴러와 반전에 집중한다면, <미스 함무라비>는 사건을 통한 현실 비판에 더 집중한다. 그런데 그 비판의 방식도 사뭇 다르다. 그것은 잘못된 현실을 꼬집으면서도 자신 또한 그 비판의 대상에서 제외시키지 않는 자아 성찰적 방식을 택하고 있어서다.

‘전관예우’는 우리가 법을 생각하면 너무나 당연하게 떠오르는 단어가 됐다. 대부분의 대중들은 ‘전관예우’가 판결의 향방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한다. <미스 함무라비>에 등장하는 판사들은 바로 이런 생각에 발끈한다. 한세상(성동일) 부장판사는 “요즘 같은 세상에 전관예우가 어디 있냐”고 쏘아붙인다.

그런데 마침 재벌에게 후한 판결을 내린 권세중(김정학) 판사가 자신이 판결을 내리기 전에 다양한 ‘국민 여론’을 수렴했다고 하자 박차오름(고아라)은 도대체 그 국민은 누구를 얘기하는 것이냐고 묻는다. ‘국민 여론’이라고 포장하고 있지만 사실은 가진 자들의 이야기를 들었을 뿐, 서민들의 여론은 거기 들어 있지 않기 때문이었다.



사람 좋아 보이기만 하던 감성우(전진기) 부장이 박차오름이 맡은 사건에 은근슬쩍 청탁을 하고, 그것이 문제가 되어 결국 감성우 부장이 법원에서 쫓겨나게 되는 과정은 없다고는 하지만 저 밑바닥에 항상 존재해온 ‘전관예우’가 존재한다는 걸 씁쓸하게 알려줬다. 이러니 수임자들은 돈을 더 주고도 전관 변호사를 쓰려고 하고 심지어 브로커들까지 생겨나게 된 것.

하지만 <미스 함무라비>는 그저 이 문제를 저들의 잘못으로 치부하지 않고 내 문제일 수 있다는 자아 성찰을 담아냈다. 갑자기 고통을 호소하는 엄마를 업고 응급실로 달려온 임바른(김명수)이 바빠서 의사들이 엄마를 봐주지 않자 그 병원을 소유한 집안의 친구에게 전화를 해 부탁을 하는 장면이 그렇다. 결국 엄마의 증세가 요로결석으로 통증은 심해도 위급하지는 않다는 의사의 말에 담겨진 차가운 냉소를 알아차린 임바른은 자신 때문에 먼저 처치 받지 못한 더 위중한 환자에게 다가가 미안하다고 무릎을 꿇는다.

그토록 전관예우를 비판적으로만 바라보던 자신이지만 자신 역시 위급한 상황에 똑같은 모습을 보였다는 사실에 임바른은 이 문제가 저들의 문제만이 아닌 우리 자신의 문제라는 걸 성찰하게 된다. “돈도 연줄도 없는 이들은 막연한 분노로 거리로 나서고, 돈이라도 좀 있는 이들은 브로커 말만 믿으며 전관을 찾는데, 정말 힘 있는 사람들은 굳이 로비할 필요도 없다. 이미 그들 중 한 사람이 된 판사가 그들을 재판할 테니까.” 실제로 결혼식장에 갔다가 그 빌딩 소유주인 재벌3세 민용준(이태성)을 만나게 된 임바른은 그가 법원 내부의 움직임까지 모두 꿰뚫고 있다는 사실에 놀라게 된다. 그러한 정보는 법원 내부 사람들과의 결탁이 아니면 가질 수 없는 것들이기 때문이다.



전관예우를 소재로 다룬 이야기에서 드러나듯이 <미스 함무라비>는 판사들이 맡는 사건들을 통해 세상을 비판적으로 들여다본다. 법정은 그래서 사건이 판결되는 곳이라기보다는 우리가 사는 세상의 축소판처럼 그려진다. 이전 회에서 등장했던 과중한 회사생활의 스트레스로 정신을 놓아버린 한 회사원의 이야기에서 우리 사회에 내재된 1등 지상주의의 씁쓸한 단면을 볼 수 있었던 건 그래서다.

하지만 법정을 통해 그려내는 현실 비판을 담아내면서 <미스 함무라비>는 그것이 또한 우리 모두의 문제라는 걸 지적하는 것 또한 피하지 않는다. 법정을 통해 이런 이야기를 할 수 있다는 건 아무래도 그 안에서 생활해온 문유석 판사의 경험과 생각이 녹아있어서가 아닐까. 문유석 판사는 자신이 그 자리에 있으면서 생각했던 현실과 이상의 괴리를 ‘미스 함무라비’인 박차오름 같은 판사를 통해 이야기를 통해서나마 어떤 해법을 모색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 진심어린 성찰의 과정이 아니었다면 <미스 함무라비> 같은 괜찮은 드라마가 탄생하기는 어려웠을 게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JT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