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식당’, 백종원이 보여주는 식당의 탄생부터 성장까지

[엔터미디어=정덕현의 네모난 세상] 애초 SBS 예능 <백종원의 골목식당>이 시작된 건 ‘골목상권’을 살리겠다는 취지였다. 그래서 실제로 이대, 필동 등 그의 솔루션으로 환골탈태한 골목식당들은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마치 요식업계의 마이더스의 손처럼 경험에서 우러나는 멘토링은 잘 하는 집은 더 성장하게 해줬고, 잘 안 되는 집은 문제의 근원을 찾아 해결함으로써 재기할 수 있게 해줬다.

그런데 뚝섬편으로 오면서 <백종원의 골목식당>은 지금까지와는 사뭇 다른 이야기와 방향성을 보여줬다. 상권이 문제가 아니라 기본조차 되어 있지 않은 가게들이 더 문제였기 때문이다. 김성주가 농담 반 “오디션 프로그램이 되고 있다”고 말한 것처럼 프로그램은 백종원의 솔루션을 얻기 위한 가게들의 노력과 경합으로 채워졌다.

처음 가게들을 찾았을 때는 백종원의 분노가 폭발했다. 족발집에서 파는 점심메뉴 볶음밥은 삼겹살이 제대로 익지 않아 고기에서 냄새가 났고, 족발 육수는 양파망을 사용해 우려내고 있었다. 경양식집 역시 겉치레는 번지르르했지만 요리의 기본이 되어 있지 않았고 고기에서 냄새가 나는 걸 지적했지만 주인은 “엊그제 사왔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백종원은 직접 냉장고에서 고기들을 꺼내놓고 “절대 엊그제 산 고기가 아니다”라며 그 거짓말을 질타했다.



샐러드식당은 가격 대비 새로움이 전혀 없었고, 심지어 소스들조차 직접 만든 게 아니라 사서 쓰고 있었다. 역시 제대로 보관을 하지 못하는 바람에 연어에서는 냄새가 났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찾아간 장어집은 문제가 아닌 게 없을 정도였다. 8천 원에 한 마리라고 해서 가성비가 뛰어나다 여겼지만 알고 보니 그 장어는 수입산 바닷장어였고 그래서 가시가 세서 먹다가 문제가 될 수도 있었다. 또 생선이나 장어를 주문을 받아 그 때 그 때 조리하는 게 아니라 미리 초벌한 걸 냉장고에 넣어 뒀다가 전자렌지에 돌려서 내놓는다는 걸 알게 된 백종원은 기본이 되어 있지 않다며 “가게 문 닫아야 한다”고 말하기까지 했다.

백종원은 가게 주인들을 모아 놓고 ‘진정성’을 보여달라고 요구했다. 그것은 어찌 보면 솔루션을 두고 벌어지는 음식점 간의 오디션에서 일주일 간 해야 할 미션처럼 보였다. 가게들은 모두 문을 닫고 저마다 연구를 통해 새로운 해결책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그 중 단연 눈에 띄는 변화는 장어집이었다. 장어집이라 이름 붙여져 있지만 장어를 과감히 포기했고, 서브 메뉴였던 고등어구이를 메인으로 삼아 직화로 구워내는 노력을 보여줬다.

결국 백종원은 그 장어집에 솔루션을 주기로 결정했고, 또 족발집을 추가로 선택했다. 나머지 두 집은 더 이상의 솔루션도 방송도 없다고 여겨지는 순간 백종원은 또 마음을 고쳐먹었다. 두 집에 다시 기회를 준 것. 사실 어찌 보면 애초부터 네 집 모두 솔루션을 주려 했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백종원은 그 과정을 어렵게 만들어냄으로써 요식업을 한다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그 기본을 알게 해줬다.



<백종원의 골목식당>이 흥미로워진 건 그러나 단지 오디션 같은 경합적인 요소를 넣어서가 아니었다. 그것보다는 처음에는 기본도 되어 있지 않던 집들이 차츰 노력하고 고민을 거듭해가면서 진짜 요식업이 무엇인가를 하나둘 깨쳐나가는 그 성장과정을 보여줘서다. 사실상 식당은 바로 그 지점에서부터 시작이라고도 볼 수 있었다. 만일 요식업을 생각하는 분들이라면 이 쉽지 않은 과정이 남다른 의미로 다가왔을 것이다.

장어집에서 장어를 포기한 점주가 이제 고등어구이를 기점으로 해서 다른 생선구이로 조금씩 확장해가려는 모습을 보이는 건 그래서 이 프로그램을 보는 시청자들도 흐뭇하게 만든다. 새벽시장에 나와 어떤 생선들이 있는가를 살피는 모습에서 백종원이 비전으로 제시한 전국 각지의 산지에서 바로 바로 올라온 싱싱한 생선을 현지 가격으로 파는 점주의 생각만 해도 가슴 뛰는 미래를 그려보게 된다. 쉽게 주어지는 솔루션이 아니라 어려운 과정을 통과하면서 <백종원의 골목식당>은 골목상권을 살린다는 애초 취지와 함께 이제는 요식업의 탄생과 성장 과정을 담아내고 있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S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