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의 두 얼굴, 벌써 팽팽한 ‘라이프’의 긴장감

[엔터미디어=정덕현] 사람을 살리는 곳 혹은 엄연한 사업체. 병원의 두 얼굴이다. 인정하긴 싫지만 사람이 죽고 사는 건 단지 천명에 달린 일이 아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생명은 돈에 좌우되기도 한다. 물론 당장 생명 앞에서 의사는 최선을 다하려 한다 할지라도, 병원이라는 자본의 무생물은 시스템으로 삶과 죽음을 가른다. 이수연 작가가 <비밀의 숲> 이후 돌아온 JTBC 월화드라마 <라이프>는 바로 그 지점을 정확히 메스로 갈라보는 드라마다.

드라마는 옥상에서 떨어져 피투성이가 된 채 병원 응급실 앞으로 도착했지만 결국 죽음을 맞이한 이보훈 원장(천호진)에서부터 시작한다. 구급차에서 이 원장에게 심폐소생술을 했던 듯 보이는 부원장 김태상(문성근). 카메라는 그 구급차에서 죽은 원장을 확인하고는 넋이 나가버린 예진우(이동욱)에서 조금씩 빠져나와 상국대학병원 건물을 훑으며 올라간다. 그리고 병원 저편으로 보이는 어둑한 도시를 비춘다.



그건 마치 이 드라마가 담아내려는 이야기의 구조를 압축하는 듯 보인다. 처음에는 원장의 갑작스런 죽음에 대한 미스터리에서 시작하지만 그 이야기는 이 병원을 감싸고 있는 새로운 시스템이 불러온 어떤 비극적인 사건을 예고하고 궁극적으로 이 병원의 시스템이란 우리가 사는 세상의 시스템을 고스란히 드러낼 거라는 예감이다.

술에 취해 부원장의 집을 찾아와 술 한 잔을 더하다 담배를 피운다며 옥상에 올라갔다가 추락사했다고 했지만, 예진우는 그 날 원장과 다퉜다는 부원장을 의심한다. 그 의심을 확증이라도 하듯 곧바로 지역병원으로 산부인과, 소아과, 응급과가 파견을 가라는 지침이 내려온다. 당국의 요청에 의한 것이라고는 하지만, 누가 봐도 병원에 채산성이 없는 과들을 치우겠다는 의도가 보인다.

원장의 죽음이 단순한 추락사가 아니라고 의심하게 되는 건, 대학재단이 사기업으로 바뀌면서 병원에 내려진 성과급제 확대 시행 지침서에 원장이 극렬히 반발했기 때문이다. “환자가 돈줄로 보이기 시작하면 그 의사는 더 이상 갈 데가 없어. 배우려는 학생한테 돈 뜯어내기만 궁리만 하는 선생을 선생이라고 할 수가 있나? 학생은 선생이 푼 문제의 답이 잘못된 걸 알지. 우리가 하는 수술 우리가 내리는 처방 일반인들은 죽었다 깨나도 몰라. 그래서 의술이 무서운 거야. 그래서 우리가 더욱더 독하게 깨어있어야 하는 이유 근데 이딴 걸 지침이라고 내려보내? 아무리 사기업이 대학재단을 통째로 먹었다고 해도 이건 아니야. 이래선 안 되는 거야.”



원장의 이 말은 <라이프>가 담아내려는 병원의 두 얼굴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병원도 자본의 시스템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이 현실이지만, 그래도 생명을 다룬다는 점에서 그래서만은 안 된다는 것. 자본의 현실을 말하는 병원의 새로운 총괄사장 구승효(조승우)와 원장과 뜻을 함께 해온 예진우는 그렇게 대립하게 된다.

역시 <비밀의 숲>이 스릴러 장르를 가져오면서도 검찰의 내부 시스템의 문제를 건드렸던 것처럼, <라이프>도 의학드라마이지만 그 안에 담겨진 시스템의 문제를 다룬다. 의술이 부족해서 사람이 죽는 것이 아니라, 돈이 되지 않기 때문에 사람이 죽어나가는 그 구조를 지목하는 것. 역시 괴물 신인 작가로 불렸던 이수연 작가 특유의 진중한 색깔이 묻어나는 작품이다.



그래서 <라이프>는 그 흥미진진한 원장의 죽음을 둘러싼 추리와 스릴러를 따라가다 보면 문득 보이게 되는 자본화된 우리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들을 만나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될 전망이다. 만일 돈이 되지 않는다며 병원이 환자를 외면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또 자본이 밑받침이 되지 않아 병원 자체가 무너질 위기에 놓이게 된다면.

하지만 그렇다고 <라이프>는 단순한 선악구도로 이야기를 끌고 갈 것 같지는 않다. 그것은 이 작품이 기획의도에서 담아놓은 것처럼, 이 이야기를 우리 몸에 바이러스가 침범했을 때 벌어지는 ‘항원-항체 반응’의 구조로 풀어내려 하기 때문이다. 상국대학병원이 우리의 몸이라면 이제 구승효로 대변되는 항원이 침범한 그 몸에서 문득 깨어난 예진우라는 항체는 어떤 반응을 일으키며 이 병원이라는 몸의 상태를 변화시킬까. 첫 방이지만 벌써부터 기대되는 대목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JT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