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 션샤인’, 흥미진진한 악역들의 대결이 말해주는 것

[엔터미디어=정덕현] 드라마의 반은 악역들이 끌고 간다고 했던가. tvN 주말드라마 <미스터 션샤인>도 예외는 아니다. 일본군 츠다 역할의 이정현이 잠깐 등장했지만 강렬한 인상을 남기고 사라진 후 호평을 받았던 건 악역 한 명의 힘이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가를 잘 보여준다. 하지만 진짜 뒷목 잡게 만드는 악역들은 <미스터 션샤인>에 넘쳐난다.

그 대표격은 아무래도 을사5적 중 거두로 지목되는 이완용을 모델로 한 듯 보이는 이완익(김의성)일 게다. 조선인이지만 리노이에 히로아키로 불리는 친일파. 역관으로 시작했지만 국가와 국가 사이에서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인물. 심지어 고종(이승준)마저도 계략으로 엮어 자신을 외무대신으로 세우게 만들 정도로 비상한 두뇌를 가진 악역이다.

이완익 같은 악역이 지금에도 여전히 의미를 갖게 되는 건 ‘큰돈’이 된다면 나라도 팔아먹는 그 매국노적 반역 행위 때문이다. 물론 제국주의 열강의 시대는 지나갔지만 지금도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이적행위도 마다치 않는 자본주의 시대가 아닌가. 그러니 이완익 같은 인물이 중요한 악역으로 세워진 건 단지 일제강점기의 매국노라는 점 때문만은 아닐 게다. 심지어 제 딸까지 일본인에게 팔 듯이 결혼시켜버린 자본화된 인물이 바로 이완익이다.



이완익과 각을 세우는 하야시 공사(정인겸)도 중요한 악역이다. 을사늑약에도 관여한 실존인물이기도 한 하야시 공사는 극중에서 츠다 하사를 문책하는 장면으로 강렬한 인상을 남긴 바 있다. 상부의 허락 없이 미공사관에 쳐들어갔다며 죽음으로 사죄하겠다는 츠다 하사 대신 책임을 전가하려는 야마다 하사(최강제)의 목을 베는 장면이다. “진실보다는 쓸모 있는 미친 자가 필요하다”고 말하는 하야시 공사의 대사는 당시 일제가 어떤 방식으로 조선을 침탈했는가를 잘 보여준다.

친일파라고 해도 조선인을 믿지 못하는 하야시 공사는 이완익을 신뢰하지 않는다. 실제로 이완익은 일본을 대변한다기보다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일본을 뒷배로 세우는 인물이다. 그가 외부대신으로 앉기 전 그 자리를 지키며 친일행각을 벌였던 이세훈(최진호)의 뺨을 때리고 그 이세훈이 반상의 위계까지 내려놓고 이완익에게 무릎 꿇는 그런 장면은 여기 등장하는 악역들이 조선 혹은 일본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권력에만 집착한다는 걸 잘 보여준다. 악역들끼리의 대결이 흥미로운 건 그래서다.



그리고 초반 미국에서 유진 초이(이병헌)와 친구로 지냈던 일본인 모리 타카시(김남희)가 드디어 등장한다. 그 곳에서는 친한 친구였지만 조선과 일본이라는 국가를 대변하는 인물로서 만나게 된 두 사람은 서로 다른 입장 때문에 대결할 수밖에 없다. 유진 초이는 아직까지 조선을 가슴에 품지는 않았지만 가슴에 품은 고애신(김태리)을 통해 조금씩 조선을 위해 행동하기 시작한다. 무관학교의 교관이 되는 조건으로 강화에 산을 받은 건 그래서 상징적이다. 자신과 부모님이 설 자리 한 자락을 얻은 것이니.

이완익이 어느 나라를 생각하기보다는 자신의 이익만을 앞세우는 악역이라면, 모리 타카시는 귀족 계급 집안에서 자라나 일본의 근대화를 위해 미국까지 간 인물이다. 그는 일본을 위해 앞장서는 인물인 만큼 이완익과는 또다른 결을 보이는 악역일 수밖에 없다. 유진 초이와 모리 타카시의 대결은 그래서 저마다 갖게 된 신념과 입장의 대결이 될 가능성이 높다.



보통 악역은 그 드라마가 하려는 이야기를 담기 마련이다. 초반 어린 유진 초이가 그 먼 미국까지 도망치게 만들었던 김희성(변요한)의 조부와 부모들은, 주인공인 유진 초이가 그 사적인 원한을 넘어서는 과정을 메시지로 담아낸다. 그는 사적 복수를 뛰어넘어 대의를 위해 나아가려 한다. 그래서 김희성이 대신하고 있는 사죄의 삶을 부모가 지지해주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완익 같은 악역은 자본화된 우리네 사회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메시지를 던지는 인물이다. 사적인 이익을 위해 공적인 것들을 내던지는 인물. 그런 부정들을 우리는 지금도 자주 정치나 경제 분야에서 쉽게 발견하곤 한다. 모리 타카시 같은 악역은 국가주의라는 시대적 한계가 만들어낸 인물의 비극을 담아낸다. 국가를 위해 개인을 희생하는 삶은 이제 그다지 정당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시대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