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뜯소’, 한태웅이 가르쳐주는 생산의 기쁨

[엔터미디어=정덕현] 도대체 그저 보기만 해도 흐뭇해지는 이 느낌은 어디서 오는 걸까. 시골이라는 공간이 주는 푸근함 때문일까. 아니면 한태웅이라는 어리지만 당찬 중딩농부의 넉넉한 마음 때문일까. tvN <풀 뜯어먹는 소리>가 ‘가을편’으로 돌아왔다.

‘봄편’에서도 그랬지만 ‘가을편’ 첫 방송도 아주 특별한 일들은 그리 많지 않았다. 새 멤버로 박나래와 황찬성이 합류했고, 그렇게 도착한 그들은 오자마자 봄에 모내기를 했던 논을 가득 채운 벼를 흐뭇하게 바라봤다. 그리고 곧바로 고추밭으로가 빨갛게 익은 고추를 따고는 집으로 돌아와 점심을 먹었다.

이 별것도 아닌 일들은 하지만 묘한 편안함을 주었다. 고추를 따는 농사 일은 단순해 보여도 도시에서 살던 이들에게는 고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 고된 일을 끝내고 집으로 돌아와 먹는 점심은 꿀맛이었다. 똑같은 한 끼도 완전히 다르게 다가오는 건 거기 ‘건강한 노동’이 있어서다. 도시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노동 후의 한 끼가 주는 행복감.



도시 살이가 소비의 삶이라면 한태웅이 소개하는 농촌의 삶은 생산하는 삶이다. 봄에 심었던 벼들이 올여름 폭염과 갑자기 들이닥친 태풍을 다행히도 피해내고 초가을 풍성하게 자라있는 모습은 생산하는 삶에서만 느낄 수 있는 기쁨이 아닐까. 빨갛게 익은 고추를 따다 빻아서 만든 고춧가루가 맛있는 음식으로 돌아올 거라는 걸 알기에 느껴지는 포만감. 이것은 <풀 뜯어먹는 소리>가 특별한 일을 벌이지 않아도 우리에게 주는 정신적인 포만감이다.

이제 열여섯의 중딩 농부 한태웅이 주는 흐뭇함은 바로 이런 농촌에서의 생산하는 삶이 온 몸에 묻어나면서 생겨나는 것처럼 보인다. 그는 아침 일찍부터 잠들 때까지 무언가를 일궈내기 위해 쉴 새 없이 손을 놀린다. 그 모습은 도시에서 하루 종일 무언가를 끊임없이 소비하며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결핍된 것이 무엇인가를 드러낸다.

이 어린 생산하는 자의 당찬 포부는 그래서 우리의 마음을 뭉클하게 만드는 면이 있다. 강원도까지 찾아가 보통 송아지 가격의 두 배나 되는 칡소를 사오며, 앞으로 그 소를 키워 안성에 있는 자신의 축사 가득 채우겠다는 포부는, 도시에서 살아가며 더 성공하기 위해 더 많은 돈을 벌기위해 경쟁하는 삶에서는 느낄 수 없는 무언가가 있다.



마치 호랑이 문양이 들어간 듯한 특이한 외양을 가진 칡소는 우리나라에 꽤 많이 존재했지만 일제강점기에 약 150만 마리가 수탈되면서 점점 자취를 감추다 현재는 멸종 위기에까지 처했다고 한다. 현재는 전국에 3천 마리 정도 밖에 없다는 칡소. 그걸 복원해 안성에 칡소가 유명하게 만들고 싶다는 한태웅의 포부. 도시에서 온 출연자들이 모두 고개를 끄덕인 건 그 남다른 포부가 주는 기특함 때문이 아니었을까.

<풀 뜯어먹는 소리>는 그 ‘생산적인 일들’ 덕분에 굉장한 일을 벌이지 않아도 도시에서는 느낄 수 없는 즐거움을 선사한다. 무언가를 키워내고 살려내는 일을 한다는 것. 그 속에서 땀을 흘리고 있는 그 모습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도시에서 사는 우리들에게 주는 기쁨이 적지 않다. 그 삶이 고스란히 묻어있는 한태웅을 보며 흐뭇한 마음이 드는 건 그래서일 게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