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잡3’ 김상욱 교수의 과학이 따뜻하게 느껴지는 이유

[엔터미디어=정덕현] “우주는 원래 심심해요. 어떤 뜻에서는 우주라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거나 무엇이 거기 뜻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좀 인간의 편견이지. 그냥 계속 돌뿐이고 끊임없이 부딪치고 떨어지고 이런 것에 불과하니까 반복되는 심심함 밖에 없어요.” 유희열이 혼자 바다에서 너무 심심했다는 이야기에 김상욱 교수가 ‘심오한 이야기’라며 그렇게 말하자, 유시민은 농담을 섞어 “김상욱 샘이 결혼을 어떻게 하셨을까” 신기하다고 말한다. 그러자 김상욱은 그것이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라며 이렇게 말한다.

“저는 우주에 있는 하나의 작은 물질의 집합이지만, 또 한편으로는 말씀하신대로 작은 호모 사피엔스 하나. 저도 제가 가진 어떤 감정, 본능에서 벗어날 수 없죠. 당연히 제 아내가 될 사람을 만났을 때 아무 의미 없는 이 우주에서 거대한 의미가 생겼죠. 이유를 알 수 없지만 내가 너를 만나기 위해서 단세포생물로부터 지금까지 진화해 왔어. 너를 만나기 위해서 공룡이 다 멸종했어.”



<알쓸신잡3>가 부산의 어느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카페에서 진행된 지식수다의 향연 속에서 김상욱 교수가 한 말은 우리가 막연히 생각하던 과학자에 대한 선입견을 깨주었다. 어딘가 예술이나 감성과는 거리가 있는 수학적이고 논리적인 세계라고만 여기던 그 분야가 어쩌면 그래서 더 예술과 감성과 어울릴 수 있다는 걸 김상욱 교수는 연애를 통해 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심심하고 ‘무의미한’ 것이 우주가 본질이기 때문에 어쩌면 우리에게 더더욱 필요한 것이 ‘의미’라는 역설.

흥미로운 건 김상욱 교수를 포함해 10명의 과학자가 모여 만들었다는 ‘엔트로피 사랑’이라는 노래가 있었다는 것이었다. 남녀의 만남과 사랑을 이야기하는 그 곡에서 천체물리학자는 ‘아주 오랜 옛날 빅뱅 초신성 폭발’로 빛났던 너로 표현했고, 천문학자는 ‘138억 년 지나’ 지구라는 작은 곳에서 우리가 이제 만났다고 표현했다. ‘이 넓은 우주 속에 우리 함께 있어 (가속팽창 하더라도) 서로 멀어지지 않아’ 같은 가사는 이들 과학자들이 그 과학적 세계 속에서도 말랑말랑한 감성을 갖고 있는가를 보여준다. 김상욱 교수는 이 곡에서 “세상 모든 것이 그저 정보라 해도 이 세상 모든 것이 있고 동시에 없고”라고 노래한다. 각자 자신들이 연구하는 과학영역을 통해서 사랑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



을숙도에 위치한 부산현대미술관을 다녀온 김상욱 교수는 “세상을 보는 전혀 다른 관점을 미술이 저한테는 준다”고 말했다. 이질적으로 보이지만 과학과 미술이 그렇게 만나고 있다는 걸 단적으로 보여준 건 부산현대미술관 외벽을 가득 덮은 식물은 패트릭 블랑의 ‘수직정원’이라는 작품이었다. 실제로 건물 외벽에 계속 식물이 자랄 수 있게 장치되어 있는 그 작품을 설명하며 김상욱 교수는 현대미술은 “아이디어만큼이나 이를 구현할 과학적 기술도 중요하다”고 했다.

그 곳에서 김상욱 교수는 두 개의 작품을 인상적으로 봤다며 소개해줬다. 하나는 신문지를 쌓아 거대한 벽을 만들고 그 저편으로 신문 찢는 소리가 들려오게 한, 장 페이리의 ‘임시 개방된 명승지’라는 작품이었다. 김상욱 교수는 “예술에 정답은 없지만” 그 작품이 하려는 이야기가 “언론이 장벽을 만든다”는 것이라 느꼈다고 한다. 작가는 실제로 이 작품을 통해 “소통에 대한 욕구”를 담으려 했다고 한다.



김상욱 교수가 인상적으로 본 또 하나의 작품은 스마다 드레이푸스의 ‘어머니의 날’이라는 작품이었다. 작품을 보기 위해 안으로 들어가니 완전히 깜깜해진 공간에 들어가게 됐는데, 두려움 속에서 나가야된다 생각할 때 확성기로 울리는 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고 했다. 나와서 그 작품설명을 보니 그 소리를 낸 정체가 어머니와 아들이었다고 했다. 시리아와 이스라엘 분쟁지역인 골란고원에서 어머니의 날이 되면 이른바 ‘외침의 언덕’이 만들어지는데, 서로 다른 영토로 분리되어 만나지 못하는 어머니와 자식이 그곳에서 서로의 안부를 묻는다는 것. 바로 그 소리라고 했다.

“저는 타라 엘 무스타파예요. 어머니 축복합니다. 오래오래 행복하세요. 보고 싶어요. 어머니가 너무나도 그리워요.” “타라야, 좋은 아침이구나. 거기 모두들, 좋은 아침이에요!” “어머니, 어머니 목소리가 들려요.” “오래 오래 살아 나를 묻어야지. 야 움미 매해 좋은 일만 있기를.. 내 생명. 우리 건강하게 볼 수 있기를.” 어머니와 자식이 나누는 그 대화였다는 걸 알고 나서 김상욱 교수는 눈물이 났다고 했다.



“그래서 저는 이런 게 너무 좋아요. 이런 감정을 느껴볼 수 있다는 게. 과학이 할 수 없는, 어떤 예술의 창조를 통해서만 할 수 있는, 분단을 이렇게 표현할 수 있구나..” 김상욱 교수는 예술의 새삼스런 가치에 대해 말하고 있었다. 무의미해 보이는 세계, 심지어 누군가 선을 그어 냉혹하게 갈라놓아 버린 곳에서조차 서로에게 외침으로 들려주는 존재의 의미들. 어쩌면 심심한 세계이기에 더더욱 소중해지는 사람들... 김상욱 교수의 과학이 따뜻한 온기로 느껴지는 이유였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