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가치를 되새긴 ‘알쓸신잡3’, 합당한 예의를 갖추다

[엔터미디어=정덕현] “웬만하면 절판된 책은 안 가지고 나오려고 했는데, 이런 책은 사라져서는 안된다.” tvN <알쓸신잡3> 마지막편에 출연자들이 추천 도서를 소개하는 시간에 김영하는 김은성 작가의 만화책 <내 어머니 이야기>를 소개하며 그렇게 말했다. 40세 처음 만화를 그리기 시작한 만화가가 뭘 그릴까 생각하다 그린 그 만화는, 함경북도 북청에서 피난 와서 이제 여든 살이 된 어머니의 이야기를 담은 책이었다.

하나하나 어머니가 해주는 이야기를 취재해 그린 그 만화책은 완성하기까지 무려 10년이 걸렸다고 한다. 작가는 ‘어머니는 80대 10년을 당신의 이야기를 나에게 들려주시며 시간을 보내셨다’며 ‘지금은 내가 어머니보다 어머니에 대해 더 많은 것을 기억한다’고 말한다. 김영하 작가는 이 만화의 멋진 점으로 “철저히 함경도 사투리로 재현했다”는 걸 꼽았다.

총 4권으로 한국의 현대사를 망라하고 있는 이 책에서 구술로 이야기를 전해 듣고 만화를 그린 딸은 “우리 엄마가 이렇게 기억력이 좋았나”하고 감탄했다고 한다. 그런데 어머니는 그 말에 “100번을 시켜도 내가 똑같이 얘기해준다” 말했다 한다. 소설을 많이 읽어 웬만하면 읽다 우는 일이 없지만 이 책을 읽으면 “감정이 흔들린다”는 김영하는 그 이유로 “진짜 이야기가 있어서”라고 했다. 김영하는 “만약 한국의 퓰리처상이 있다면 수상할 만한 책”이라며 “우리 모두 하나의 역사고 현대사라는 걸 만화로 보여준 위대한 작품”이라고 했다.



하지만 놀랍고도 안타까운 점은 이 책이 절판된 책이라는 것이었다. 김영하는 세상에는 사라져선 안되는 책이 있다며 이 책은 꼭 다시 누군가 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이야기는 지금의 출판계가 가진 안타까운 상황을 잘 드러낸다. 좋은 책이 살아남기보다는 잘 팔리는 책이 살아남는 현실이 아닌가. 김영하가 굳이 절판된 책을 들고 온 데는 그 안타까움을 전하려는 뜻도 담겨 있다 여겨졌다.

마지막편에서는 출연자들이 저마다의 이유로 책 한 권씩을 가져와 추천했다. 김상욱은 과학박사답게 나탈리 엔지어의 <원더풀 사이언스>를 소개하며 그 추천이유로 “과학은 지식이 아니라 태도”라는 걸 담고 있는 책이어서라고 했다. 유희열은 마스마 미리의 <밤하늘 아래>라는 만화책을 소개했다. 편안하게 읽으며 잠깐 생각을 할 수 있는 책이라고 했다.



유시민 작가는 나온 지 55년된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을 가져왔다. 최근에 본 플라스틱으로 배가 가득 채워진 고래를 보고 환경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책을 추천하게 됐다고 했다. 유시민 작가는 이 책을 추천한 이유로 두 가지를 들었다. 하나는 세상을 바꾼 책이라는 사실이었고, 다른 하나는 에세이로서 하나의 모델이 될 만큼 훌륭한 책이라는 사실이었다. 김진애 박사는 케빈 켈 리가 쓴 <통제불능>이란 책을 추천했다. 영화 <매트릭스>에 영향을 준 이 책은 “새로운 변화를 두려워 말라”는 뜻을 담고 있다고 소개했다.

<알쓸신잡>이 시즌1에서도 그랬던 것처럼 이번 시즌3에서도 그 마무리를 책 소개로 한 뜻은 그만한 이유가 있다. 사실 교양을 예능으로 끌어안은 <알쓸신잡>이라는 프로그램이 자칫 책보다 재밌는 영상을 통한 교양을 보여줌으로써 ‘책의 가치’를 희석시키는 건 아닌가 하는 오해의 소지를 만들 수 있어서다. 실제로 출판가를 들여다보면 방송의 위력을 실감할 수 있다. 방송으로 유명해진 저자들이 대부분의 베스트셀러를 장악하고 있는 게 출판가의 현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알쓸신잡3>만 두고 봐도 이 프로그램의 토대가 되는 건 무수히 많은 인문서적들이라는 걸 우리는 확인할 수 있다. 그리스에서 이야기됐던 호메로스의 <일리아드 오딧세이>나 <그리스 로마 신화>가 그렇고, 유시민 작가가 스스로 소크라테스빠(?)를 자청하며 언급한 이야기들을 담은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변명>이란 책도 그러하며 독일에서 다시 끄집어낸 한나 아렌트의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같은 책도 그렇다.

사실 너무 많아 하나하나 다 거론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책들이 이들의 지식 수다를 통해 소개되었다. 결국 <알쓸신잡>이라는 프로그램은 이 많은 책들에 빚지고 있다는 뜻이다. 그러니 마지막회에 추천도서를 통해 책의 가치를 되새기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한 예의처럼 보인다. 특히 김영하가 절판된 책을 추천한 점은 ‘좋은 책’은 사라지면 안 된다는 강력한 메시지가 됐다고 생각된다. 팔리는 책만 살아남는 환경을 넘어서서.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