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혀 기대 없었던 ‘내안의 그놈’이 의외의 선전한다는 건

[엔터미디어=정덕현의 그래서 우리는] 연말연시 이른바 기대작으로 불리던 한국영화들은 줄줄이 흥행에 실패했다. <내부자들>의 우민호 감독에 송강호가 주연으로 등장한 <마약왕>은 180만 관객(10일 현재)에 머물렀고, <과속스캔들>, <써니>의 연속 흥행으로 기대감이 높았던 강형철 감독의 <스윙키즈>도 140만 관객에 머물렀다. <더 테러 라이브>의 김병우 감독에 하정우가 출연한 [PMC:더 벙커]도 160만 관객에 그침으로써 대작 한국영화들은 모두 손익분기점도 넘지 못하는 상황을 맞이하게 됐다.

물론 이런 작품들과 최근 개봉한 <내안의 그놈>을 단순 비교할 수는 없다. 작품성이나 완성도, 주제의식 등등 모든 걸 비교해도 <내안의 그놈>이 이들 대작들에 미치지 못한다는 건 인정할 수밖에 없는 사실이니 말이다. 하지만 단순히 상업영화로서 영화가 주는 즐거움과 재미에만 포인트를 맞춰 비교해본다면 조금 다를 것 같다. 전혀 기대가 없이 한국영화가 그렇지 하며 <내안의 그놈>을 봤던 관객들은 그 뻔한 소재로 빵빵 터지는 의외의 재미에 당혹감마저 느낄 수 있을 테니 말이다.



<내안의 그놈>은 제목에 담겨 있는 것처럼 그 흔한 ‘영혼 체인지’를 소재로 삼고 있다. 왕따로 빵셔틀을 하며 살아가는 고등학생 동현(진영)과 잘 나가는 엘리트 건달 판수(박성웅)가 어느 날 추락사고로 인해 영혼이 바뀌는 설정. 너무 흔하고 뻔한 설정이라 그런지 그게 무슨 재미가 있을까 싶지만, 바로 그렇게 기대감을 전혀 갖기 못하게 만드는 설정에서 의외로 빵빵 터지는 웃음은 강도가 더 세다.

뻔한 설정을 가져왔지만 <내안의 그놈>은 지금의 대중들이 현실에서 느끼는 억압된 정서를 그 코미디 설정 안에 콕콕 박아 넣어두었다. 이를테면 뚱뚱한 몸으로 학교에서 왕따 괴롭힘을 당하는 동현의 몸으로 건달 판수의 영혼이 들어감으로써 그간 당해왔던 그가 자신을 괴롭혔던 이들을 평정해버리고 여학생들이 하트를 보내는 인물로 거듭나는 과정이 주는 카타르시스가 그렇다. 그 통쾌함이 더해지면서 코미디의 웃음은 미소를 넘어 폭소가 된다.



또한 고등학생과 중년 남자라는 나이 차가 영혼체인지로 뒤집어지고, 그래서 툭툭 나오는 반말이나 행동거지가 주는 웃음 속에도 묘한 나이의 위계를 뒤집는 카타르시스가 담긴다. 물론 이 세대 차이는 영혼체인지로 엮이면서 서로를 이해하고 소통하게 되는 단계로 넘어가지만, 그 과정에서 영화는 일관되게 웃음을 줄 수 있는 코미디에 집중한다. 판수의 영혼이 들어간 동현이 학교에서 잘 나가는 모습과 거꾸로 동현의 영혼이 들어간 판수가 겁쟁이가 되는 모습의 대비 또한 웃지 않을 수 없는 요소다.

하지만 여기에 더 코미디적 재미를 더하는 건 고등학생 동현의 몸을 갖게 된 판수가 과거 헤어진 판수의 첫사랑 미선(라미란)을 만나게 되면서 벌어지는 소동극이다. 동현이 좋아하는 같은 반 친구인 현정(이수민)의 엄마가 미선이었다는 설정은 그래서 후반으로 치달을수록 복잡 미묘하게 꼬이는 관계로 인해 빵빵 터지는 웃음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이 코미디를 완성하는 건 결국 박성웅, 라미란, 김광규와 더불어 이 영화로 연기자로서의 가치가 확실히 느껴지게 된 진영의 연기다. 이들은 뻔한 상황도(심지어 비극적 상황을) 리얼한 연기를 통해 웃음으로 바꿔내는 힘을 만들어낸다.



사실 <내안의 그놈>에 그다지 큰 주제의식이나 메시지 또는 영화적인 스타일의 성취 같은 거창한 것들은 전혀 기대할 수 없다. 하지만 어찌 보면 의미 과잉인 현실이 주는 피곤함을 잠시 벗어나 그저 아무 생각 없이 두 시간 동안 웃고 싶다면 이만한 영화가 없다. 웃음 자체에 처음부터 끝까지 천착하는 코미디가, 어째서 그것만으로도 가치가 있는가를 잘 보여주는 영화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영화 <내안의 그놈>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