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 부시게’, 오래도록 연기자 김혜자를 기억하게 할 드라마

[엔터미디어=정덕현] “눈 쓸어요. 눈이 오잖아요. 우리 아들이 다리가 불편해서 학교 가야 될 텐데 눈이 오면 미끄러워서.” 혜자(김혜자)는 눈을 쓸고 있었다. 혹여나 다리가 불편한 아들이 미끄러져 넘어질까봐. 아마도 그건 세상 모든 어머니들의 마음일 게다. “아들은 몰라요. 그거.” 그 사실을 아들(안내상)은 평생 모르고 있었다. 그것 역시 세상 모든 자식의 모습이 아닐까. 하지만 이 어머니는 괜찮다고 했다. “몰라도 돼요. 우리 아들만 안 미끄러지면 돼요.”

알츠하이머를 가진 어머니 혜자. 어릴 적 사고를 당해 다리 한 쪽을 의족에 의지하며 살아온 아들. 뭐 하나 빛날 것 없는 삶의 무게를 온전히 지고 살아온 두 인생이 서로 포개진다. 아들은 그토록 자신을 엄하게 내몰았던 엄마의 진심을 그제야 알아채고 주체할 수 없는 감정에 휩싸인다. “이제 그만 쓰셔도 되요.” “아니에요. 눈이 계속 오잖아요.” 아들은 평생 눈을 쓸어 오신 어머니를 기쁘게 해드리고 싶어진다. “아드님 한 번도 안 넘어졌대요. 눈 오는 날 내내 한 번도 넘어진 적 없대요.” 그러자 어머니의 환하게 펴진 주름진 얼굴에 기쁨이 번져간다. “정말이에요? 다행이네요.” 아들은 뒤늦은 깨달음에 눈물을 참지 못한다. “엄마였어. 평생 내 앞의 눈을 쓸어준 게 엄마였어.”



JTBC 월화드라마 <눈이 부시게>가 종영했다. 12부작의 짧은 드라마로 순식간에 끝나버렸지만, 우리는 이 드라마를 쉽게 잊지 못할 것 같다. 그 짧은 순간처럼 지나간 드라마 한 편이 마치 한 사람의 삶 전체를 들여다본 것 같은 먹먹함을 안겨주기 때문이고, 그것이 또한 우리네 삶을 압축해 보여줬기 때문이며, 그렇게 순식간에 지나가는 보통의 평범한 삶이라도 얼마나 그 삶이 눈이 부신가를 이 드라마가 그려주었기 때문이다.

생각해보면 혜자가 ‘시간을 되돌리는 시계’라는 장치를 알츠하이머의 기억 속에서 고안해낸 건, 자신에게 가장 소중했던 사람들을 위해서였다. 그건 사랑했고 결혼해 행복했던 순간을 함께 했지만 폭력적인 시대를 맞아 한 줌의 재로 돌아왔던 남편 준하(남주혁)를 되살려 다시금 청춘의 나날에 만나 사랑하고픈 그 마음이 담겨있었다. 폭력적인 아버지 때문에 자신이 아버지가 되었다는 것조차 실감하지 못할 정도로 어두웠던 사람. 하지만 혜자를 만나 아들을 낳고 그 평생의 어둠을 비로소 떨쳐낼 수 있었던 사람. 그는 시대의 아픔 속에 사라졌지만, 혜자의 기억 속에는 눈이 부신 날의 아름다운 청춘으로 평생 남아 있었다.



혜자가 시간을 되돌리고 싶었던 또 한 이유는 바로 사고로 장애를 갖게 된 아들이었다. 알츠하이머의 기억 속에서 그 아들은 혜자의 아빠가 되었다. 사고를 당한 아빠를 되살리기 위해 시계를 돌리고 또 돌렸던 혜자. 아마도 그건 사고로 장애를 가진 아들을 평생 지울 수 없는 아픔으로 안고 살아온 혜자의 마음이 만들어낸 간절함이었을 게다. 그래서 한 순간에 늙어버렸다는 설정은 그래서 보기만 해도 아픈 아들 앞의 눈을 평생 쓸어온 어머니들의 삶을 상징하는 것처럼 보인다.

생각해보면 <눈이 부시게>의 혜자나 준하의 삶이나, 혜자의 아들과 그 며느리(이정은)의 삶 어느 것 하나 대단한 삶은 없었다. 아니 그들의 삶은 고단했다. 집으로 돌아오면 의족을 떼어놓고 잠시 쉬는 아들과, 독한 염색약에 손이 다 갈라져버린 며느리. 눈이 부시기보다는 빛조차 느껴지지 않는 어둠의 터널을 살아온 것만 같았다. 과연 이런 고단한 삶에도 행복이라는 것이 있었을까.



“어머님은 살면서 언제가 제일 행복하셨어요?” 평생 아들 앞의 눈을 쓸어 오신 어머니에게 아들이 묻는다. “대단한 날은 아니구. 나는 그냥 그런 날이 행복했어요. 온 동네에 다 밥 짓는 냄새가 나면 나도 솥에 밥을 안쳐놓고 그 때 막 아장아장 걷기 시작했던 우리 아들 손을 잡고 마당으로 나가요. 그럼 그 때 저 멀리서부터 노을이 져요. 그 때가 제일 행복했어요. 그 때가.”

아주 평범한 어느 하루가 평생의 가장 행복한 순간이었다는 말은 그만큼 삶이 고단했다는 걸 말해주면서 동시에 그 고단한 삶에도 남다른 행복의 기억이 존재한다는 희망을 담아낸다. 알츠하이머라는 기억의 조작은 그래서 불행이면서도 동시에 행복이 된다. “어머니는 알츠하이머를 앓고 계십니다. 하지만 어머니는 어쩌면 당신의 가장 행복한 시간 속에 살고 계신 지도 모릅니다.” 지금까지 알츠하이머를 소재로 담은 그 어떤 드라마가 이런 통찰을 보여줬던가.

<눈이 부시게>가 한 사람의 인생을, 그 한 평생의 기억을 온전히 들여다보게 함으로써 우리를 먹먹하게 만들었다면, 그 한 사람의 인생을 주름 하나까지 감동하게 만든 장본인은 다름 아닌 연기자 김혜자다. 한지민이 이 드라마는 “김혜자 선생님을 위한 헌사”라고 한 이야기는 결코 과언이 아니다. 안내상이나 이정은의 깊이 있는 연기와, 한지민, 남주혁은 물론이고 손호준, 김가은, 송상은 같은 젊은 배우들의 호연, 여기에 김희원이나 우현 그리고 요양원 어르신 역할을 했던 모든 중견배우들의 연기가 눈부실 수 있었던 건 그 중심에 김혜자가 있어서다. 아마도 오래도록 우리는 연기자 김혜자를 이 드라마로 기억하게 될 지도 모르겠다. 드라마 마지막에 깔린 내레이션은 그래서 드라마 속 인물인 혜자이자 인생 선배인 김혜자가 동시에 이 시대의 가난한 이들에게 던지는 묵직한 위로가 되었다.



“내 삶은 때론 불행했고 때론 행복했습니다. 삶이 한낱 꿈에 불과하다지만 그럼에도 살아서 좋았습니다. 새벽에 쨍한 차가운 공기. 꽃이 피기 전 부는 달큰한 바람. 해질 무렵 우러나는 노을의 냄새. 어느 하루 눈부시지 않은 날이 없었습니다. 지금 삶이 힘든 당신. 이 세상에 태어난 이상 당신은 이 모든 걸 매일 누릴 자격이 있습니다. 대단하지 않은 하루가 지나고 또 별거 아닌 하루가 온다 해도 인생은 살 가치가 있습니다. 후회만 가득한 과거와 불안하기만 한 미래 때문에 지금을 망치지 마세요. 오늘은 살아가세요. 눈이 부시게 당신은 그럴 자격이 있습니다. 누군가의 엄마였고 누이였고 딸이었고 그리고 나였을 그대들에게.”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JT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