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터 프리즈너’, 콘텐츠만 좋으면 통한다는 건

[엔터미디어=정덕현의 네모난 세상] ‘교도소판 왕좌의 게임’이라는 문구가 실감난다. KBS 수목드라마 <닥터 프리즈너>는 나이제(남궁민)와 선민식(김병철)의 치고받는 팽팽한 대결로 단 4회 만에 수목극의 일방적 독주를 시작했다. 8.4%(닐슨 코리아)로 시작했던 시청률이 꾸준히 상승해 14.5%까지 올랐고, 화제성 역시 단연 중심에 섰기 때문이다.

<닥터 프리즈너>의 독주는 KBS 드라마로서는 그 의미가 깊다. 전작이었던 <왜그래 풍상씨>는 시청률이 22.7%까지 올랐지만, 주중 수목극에 이런 뒷목 잡게 만드는 문영남표 가족극을 세웠다는 점에서 꽤 많은 말들이 쏟아져 나온 바 있다. 좀 더 실험적인 작품들이 세워져 경쟁하던 수목극 시간대에까지 주말극에 어울릴만한 가족극을 가져온 것에 KBS가 아예 젊은 시청층을 의식하지 않고 시청률에만 올인하겠다는 선언이 아닌가 저어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닥터 프리즈너>는 이런 의구심을 단 몇 회 만에 날려버렸다. 감옥과 병원을 오가는 이질적인 두 장르의 결합을 통해 교도소의 패권을 장악하고 감옥에서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는 사법정의를 사적복수와 엮어낸 이 작품은 넷플릭스에 올려도 먹힐 법한 장르물의 쾌감을 선사한다. 젊은 시청층들이 열광할만한 작품이 아닐 수 없다.



새롭게 시작한 MBC <더 뱅커>는 여러모로 막강한 경쟁작을 만나 힘겨운 싸움을 하게 됐다. 일본 만화인 <감사역 노자키>를 원작으로 하고 있는 이 작품은 김상중과 채시라, 유동근 같은 든든한 배우들을 포진시키며 기대를 높였던 드라마다. 실제 드라마의 퀄리티도 나쁘지 않다. “은행은 누구의 것인가”라는 진중한 질문을 던지는 드라마로 고객들의 삶까지 살펴보는 노대호(김상중)라는 인물이 대한은행 감사를 맡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파벌싸움에만 혈안이 되어 있는 대한은행의 개혁을 추구하는 이야기지만, 그 안을 잘 들여다보면 은행을 둘러싼 서민경제의 애환과 부조리 같은 것들이 담겨 있다.

하지만 일본 원작이 갖는 조금은 느긋하고 정적인 정서적 거리감은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노대호 역할을 연기하는 김상중은 특유의 대사톤이 벌써부터 이 인물의 독특한 캐릭터를 보여주고 있지만, <닥터 프리즈너>와 비교해보면 아직까지 팽팽한 대결구도가 전면에 드러나지는 않고 있다. 하지만 <더 뱅커> 역시 육관식 부행장(안내상)과 노대호의 대결구도가 좀 더 구체적인 사건을 통해 나타나기 시작하면 만만찮은 긴장감을 보여줄 것으로 보인다.

SBS <빅이슈>는 CG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채 방영되어 벌어진 방송사고의 여파가 꽤 깊게 남았다. 사실 <빅이슈>는 이제 막 연예계와 권력 사이에 성상납 관련 이슈들을 다루기 시작했다. 이 소재는 최근 버닝썬 게이트와 장자연 사건 재조사 이슈와 맞물리면 결코 약하다 보기 어렵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방송사고 이슈가 더 큰 ‘빅이슈’가 되면서 이런 기회들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됐다.



흥미로운 건 <닥터 프리즈너>가 단 4회 만에 KBS 수목드라마의 패권을 장악하고 그 색깔 또한 바꿔냈다는 사실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건 뭘까. 그건 이제 방송사가 어디든 좋은 콘텐츠라면 통한다는 사실이다. 플랫폼이 가진 힘을 여전히 무시할 수는 없지만, 좋은 콘텐츠 하나는 심지어 방송사의 이미지까지 달리 보이게 만들어줄 수 있을 정도로 큰 힘을 발휘한다. tvN이 그간 좋은 콘텐츠들을 계속 배치해 드라마의 새로운 강자로 섰어도, 현재 수목에 방영되는 <진심이 닿다>가 그다지 화제가 없는 것처럼 플랫폼의 힘을 만드는 건 이제 플랫폼 브랜드가 아니라 콘텐츠 한 편의 힘이다.

결국 좋은 콘텐츠를 잡아올 수 있는 능력이 그 플랫폼의 힘이 되는 시대가 되었다. 이것은 비정해보일지 모르지만 다른 말로 하면 좋은 작가와 연출자 그리고 배우들을 포진할 수 있는 ‘투자여건’이 방송사의 향방을 가르는 관건이 되었다는 이야기다. <닥터 프리즈너>는 투자가 많이 들어간 작품이다. 제작비가 100억 원이 넘게 투입되었다고 한다. 이미 눈높이가 높아진 시청자들에게 더 완성도 높은 작품만이 살길이 되었고, 그만한 투자만이 좋은 작품을 포진시킬 수 있는 길이 되었다. 지상파들에게는 여러모로 기존 드라마 제작방식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투자규모를 어떻게 감당할 것인가가 중대한 숙제가 되었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K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