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스’와 조동필 열풍, 무엇이 한국 관객을 사로잡았나

[엔터미디어=정덕현의 그래서 우리는] (본문 중 영화 내용의 누설이 있습니다. 영화를 관람하실 분들은 참고 바랍니다.) 조던 필 감독의 영화 <어스>에 대한 국내 관객들의 반응이 심상찮다. 개봉 후 3일 만에 70만 관객을 넘어섰고, 영화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미 <겟아웃>으로 한국 팬들까지 갖고 있어 ‘조동필’이라고도 불리는 조던 필 감독의 작품이라는 것 때문에 이미 개봉 전부터 기대가 몰렸던 건 사실이다. 하지만 이 정도일 줄이야.

<어스 Us>는 제목에 중의적인 의미가 담겨있다. 즉 ‘우리’라는 뜻이지만 다른 식으로 들여다보면 ‘미국 United States’의 약자로 보인다. 이런 중의적 의미처럼 <어스>는 미국 사회가 가진 흑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그 이야기의 기반으로 삼고 있다. 이것은 <겟아웃>에서부터 조던 필 감독이 공포라는 장르를 통해 일관되게 갖고 온 세상에 대한 인식이다.

<어스>가 그저 B급 공포영화 그 이상의 성취를 보여주게 된 건, 그 안에 무수히 많은 상징들이 담겨져 있어서다. 영화 시작과 함께 카메라가 아주 천천히 뒤로 물러나며 보여주는 작은 케이지 안에 갇혀 있는 여러 종류의 토끼들은 <어스>라는 제목과 어우러지며 이 영화가 그리려고 하는 미국사회가 이 풍경을 닮았다는 걸 암시한다. 영화 곳곳에 풍자적 코미디가 가득 찬 <어스>는 그래서 이 첫 장면에 으스스한 긴장감과 동시에 피식 피어나는 웃음을 담아낸다. <어스>는 소름 돋는 공포영화지만 풍자적 코미디가 강해 중간 중간 빵빵 웃음이 터지는 이색적인 경험을 하게 만드는 영화이기도 하다.



<어스>가 주는 공포는 ‘도플갱어’의 존재라는 이 영화의 세계관에 의해 만들어진다. 어느 날 휴가를 떠난 애들레이드(루피타 뇽) 가족은 자신들과 똑같이 생긴 이들의 공격을 받는다. 무단침입해 들어온 이들 중 애들레이드와 똑같이 생긴(하지만 목소리나 하는 행동은 완전히 다른) 여자는 숨겨진 세상에 대한 이야기를 해준다. 겉으로 드러난 빛이 있지만 이면에 그림자처럼 사는 이들이 존재한다는 것. 누군가는 맛있는 음식을 먹을 때, 그들은 토끼 생고기를 먹어야 했고, 누군가는 부드럽고 편안한 인형을 선물 받을 때 그들은 날카로워 피가 나기도 하는 인형을 받았다는 것.

도플갱어들의 공격은 그 차별적으로 살아왔던 것에 대한 분노이면서 동시에 항변이다. 지하에서 그림자처럼 살아왔던 이들은 지상으로 나와 정반대로 빛으로서 살아온 이들을 공격한다. 그리고 손에 손을 잡고 빈곤층을 돕기 위해 1986년 미국에서 벌어졌던 ‘Handa Across America’ 캠페인을 그대로 본 딴 그들의 거대한 인간 띠 퍼포먼스를 연출한다. 연대하며 함께 살아가자는 운동이었지만, 실제로는 지하 세계에 소외된 그림자 같은 존재들을 밑바탕으로 삼는 사회. 그것이 미국이고 ‘우리’라는 걸 조던 필 감독은 공포 장르를 가져와 통렬히 비판한다.



진짜와 가짜, 빛과 그림자, 지상과 지하, 백인과 흑인 등등. 영화는 이런 대비되는 것들을 가져와 그 부딪침이 만들어내는 갈등을 통해 공포를 유발한다. 하지만 이 공포는 단지 표피적인 두려움에서 나오는 공포가 아니다. 그것은 사회의 이중적 차별이 가진 공포이고, 또 겉으로는 연대를 이야기하지만 이면에는 여전히 남겨진 차별들이 존재하고 있어 언제 어떤 방식으로 충돌하고 폭발할지 알 수 없는 그 상황이 만들어내는 공포다. 따라서 영화를 한참 보고 있으면 미국사회가 가진 허위성 같은 면들을 새삼 발견하면서 그것이 오히려 더 현실적인 공포라는 걸 알게 된다.

대책 없는 낙관과, 세계의 경찰을 자처하는 힘을 기반으로 패권을 쥐고 있는 미국이 그래서 ‘지구의 연대’를 이야기하는 것에 조던 필 감독은 공포의 실체를 포착해낸다. 어두운 면들이 존재하지만 그것들을 저 지하 밑바닥으로 숨겨두고 없는 것처럼 억누르며, 그들의 희생을 통해 유지되는 사회가 주는 공포. 누군가 풍요로운 삶을 살아갈 때 누군가는 그만큼의 희생을 치러야한다는 걸 전혀 생각하지 않고 살아가는 대책 없는 낙관의 공포가 그것이다.



그래서 영화 속에서 이 위기에 처한 애들레이드 가족은 놀랍게도 공포의 희생자가 아니라 마치 롤러코스터의 스릴러를 즐기는 이들이나, 액션영화의 주인공이나 된 것처럼 이 상황을 심지어 즐기는 모습까지 보여준다. 영화는 마치 그런 상황들을 B급영화의 코드처럼 착각하게 만들지만, 영화 말미에 이르러 보여주는 반전은 그것이 착각이 아니라 미국인들의 실체라는 걸 드러낸다. 낄낄 대고 웃으며 보다 뒤통수를 맞은 듯 얼얼한 충격을 느끼게 되는 건 그래서다.

흥미로운 건 미국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이 영화에 우리네 관객들이 열광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건 아마도 조던 필 감독이 기막힌 공포영화의 새로운 장을 보여주고 있어서이기도 하지만, 아마도 그의 공포의 기반이 되는 흑인사회가 가진 차별과 소외의 정서가 우리네 서민들의 정서와도 맞닿아 있는 면이 있어서일 게다. 항상 겉으로는 밝은 사회를 이야기하지만 매일 같이 터지는 사건들을 통해 들여다보면 그 밑에 숨겨진 어두움과 소외된 존재들이 발견되는 우리 사회. 그래서 <어스>가 ‘미국’과 함께 중의적으로 담고 있는 ‘우리’라는 의미에 우리네 관객들도 동조하는 마음이 생기는 게 아닐까.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영화 <어스>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