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치’, 역사적 사실 젊게 재해석한 신세대 사극의 성취

[엔터미디어=정덕현의 네모난 세상] SBS 월화드라마 <해치>는 융복합이 돋보이는 사극이다. 연잉군(정일우)이 자신의 출생적 한계를 뛰어넘어 강력한 군주이면서 민생을 돌본 영조가 되어가는 역사적 사실을 가져왔지만, 그 사실을 풀어나가는 과정들은 상상력이 더해진 ‘역사적 재해석’에 가까웠다. 예를 들어 경종(한승현)의 독살설 같은 역사를 <해치>는 밀풍군(정문성)이 왕의 탕약에 독을 넣게 사주하는 사건으로 풀어낸 방식이 그렇다. 이를 알게 된 연잉군이 탕약을 쓰지 못하게 하자 마치 약을 못 쓰게 해 경종을 사살했다는 식의 이야기가 흘러나오게 된 것으로 해석해낸 것.

특히 이인좌(고주원)의 난을 해석한 부분은 신묘한 면이 있다. 즉 우물에 독을 풀어 괴질이 생기게 만들고 이를 ‘자격 없는 왕 때문’이라는 괘서를 뿌려 민심을 흔든 후 난으로 이어지는 과정이 그렇다. 이인좌의 난을 환란과 변란으로 해석했고, 이 과정에서 남인으로서 늘 소외받아왔던 이인좌 수뇌부의 내분을 일으키기 위해 영조가 ‘탕평책’을 내놓는 이야기로 풀어냈다. ‘이인좌의 난’이나 ‘탕평책’ 같은 실제 역사적 사실들이 들어가 있지만 이를 상상력을 더해 재해석해낸 <해치>의 성취가 돋보이는 지점이다.



게다가 이런 재해석에는 과거의 역사를 가져와 현재를 이야기한다는 사극의 중요한 형식적 특징 또한 담겨있다. 환란과 변란과 이로 인해 만들어지는 ‘거짓 소문’들은 최근 우리네 사회가 겪은 현실의 이야기를 고스란히 재현해낸다. 세월호 참사 당시 부재했던 콘트롤 타워의 문제는, <해치>에서 괴질이 퍼져 민심이 이반되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저잣거리로 왕이 직접 나가 민초들과 소통하는 모습과 대비되는 풍경으로 그려진다. 또 괘서는 최근 인터넷 시대에 골칫거리로 등장한 ‘거짓 뉴스’를 환기시키는 면이 있다.

<해치>가 이른바 ‘신세대 사극’이라고 여겨지는 건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가져오되 과감한 상상력으로 해석해내는 그 신묘함 때문이기도 하지만, 지금껏 사극하면 떠올리곤 하던 <조선왕조실록> 같은 정치사극의 풍경과는 너무나 다른 장르사극의 풍모를 지녔기 때문이기도 하다. <해치>에서는 이른바 <왕좌의 게임> 같은 미드적인 장르적 특징들이 묻어난다. 왕좌를 놓고 벌이는 연잉군과 경종, 밀풍군의 이야기나, 노론, 소론, 남인이라는 파벌이 만들어내는 복잡미묘한 사건들이 그렇다.



여기에 ‘해치’라는 상징물이 보여주듯이 당대의 사헌부의 개혁과 연잉군이 왕좌를 얻어가는 과정을 액션 수사 장르물의 신세대적인 접근방식으로 이어 붙였다. 그래서 계속 터지고 덮여지는 사건들의 진실을 파헤치고, 그것을 통해 적을 무력화시키며 결국은 왕좌에 앉게 되는 과정을 담을 수 있었다. 그 왕좌가 주는 만만찮은 무게감을 버텨내는 과정 또한.

김이영 작가가 이처럼 역사와 상상력, 과거와 현재, 국내 사극과 미드적 장르를 성공적으로 퓨전해낼 수 있었던 것은 그간 그가 걸어온 작품의 길과 무관하지 않다. 이병훈 감독과 함께 <이산>, <동이>, <마의> 같은 퓨전사극을 만들며 사극의 잔뼈가 굵은 김이영 작가는, <화정>을 통해 미드적 감성을 더한 독립적인 자기만의 세계를 시도했지만 미완의 시도에 그친 바 있다. 결국 이런 실패의 경험이 <해치>라는 작품의 완성도를 만들었을 거라 여겨진다.



<해치>는 이병훈 감독이 추구했던 역사적 사실과 상상력의 조화는 물론이고, 현재적인 메시지를 담아내는 깊이와 현재의 시청자들이 빠져들 만한 장르적 운용을 통한 긴박감까지 훌륭한 융복합을 보여준 작품이다. 이로써 김이영 작가는 확실히 자기만의 세계를 가진 사극 작가로 서게 됐다. 다음 작품이 벌써부터 기대되는.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S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