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퀴즈’가 담은 ‘눈이 부시게’, 부산 어르신들의 거친 손만으로도

[엔터미디어=정덕현] 부산으로 간 tvN 예능 <유 퀴즈 온 더 블럭>은 시작부터 심상찮았다. 김해공항에서 광안리로 가는 택시. 택시기사 어르신은 70년차 부산 토박이인데다 27년 째 택시를 운행하고 계셨다. 차 안에서 오래 있다 보면 스트레스가 있으실 것 같다는 유재석의 질문에 “직업인데 어쩔 수 있습니까”라고 웃으시며 말씀하시는 어르신에게서 삶의 이력이 묻어났다. 손님이 없어 힘드시다는 어르신은 그 흔한 여행은 물론 서울을 가본 적도 없다고 하셨다. 그 작은 택시 안에서 많은 이들을 태워줬지만 정작 자신을 위해 여행한 적은 없었다.

어느 골목에서 쉬고 계시다 유재석과 조세호를 보고 반가워하시는 이상희, 김길자 어르신들과 마침 또 그 길을 지나다 토크 대열에 합류하신 김부연, 강애순 어르신들은 모두 동네 언니 동생하는 친구들이라고 했다. 깡깡이 일을 하다가 다치셨다며 아무렇지도 않게 웃으시는 이상희 어르신은 다리에 깁스 같은 붕대를 하고 계셨는데, 지게차가 밀어 물렁뼈가 파열됐다고 했다. 수술이 안돼 15년째 그렇게 살고 계셨지만 아무렇지도 않다는 듯 웃어 보이셨다.



깡깡이는 배에 슨 녹을 망치로 때려 떼 내고 그라인더로 밀어내는 고된 작업. 그래야 그 위에 페인트를 칠해 다시 배가 바다로 나갈 수 있었다. 아침 8시부터 시작해 오후 5시까지 한다는 그 일은 지금은 좋은 장비를 동원해 하고 있지만 예전만 해도 목숨 걸고 하는 일이었다. 앉아있기도 아슬아슬한 난간에서 하루 종일 비 오듯 땀을 쏟으며 일을 하고 내려오면 “아 살았구나”하고 안도했다고 그 일을 무려 38년 했다는 강애순 씨는 말했다. 강애순 씨 남편 박대환 씨는 그 일이 힘들고 당시만 해도 “깡깡이를 참 천하게 생각했다”고 말씀하셨지만, 유재석의 말대로 몸으로 땀 흘려 버는 돈은 ‘귀한 돈’이라고 할만 했다.



배가 높아 겁이 났고 그래서 항상 위를 보며 작업을 하곤 했다는 강애순 씨가 보여준 깡깡이를 했던 망치는 그간 어르신이 해왔던 노동의 강도를 잘 보여줬다. 계속 고쳐쓰다 새 머리를 사서 끼워 쓰던 그 망치와 어르신이 하루 종일 쥐고 있었을 손때 묻은 망치 자루에서 세월이 느껴졌다. 그 거칠어진 손이 어찌 귀하지 않을 수 있을까. 인서트로 들어간 ‘아무리 생각해도 청춘시절 도둑맞은 거 같다. 어느새 다 지나가고 노인이 되었구나. 정말 애달픈 인생이다’라고 적으신 김부연 할머니의 시화 중 한 구절이 새삼스레 가슴을 뭉클하게 만든다.



당시에는 당신만 그런 것이 아니라 모두가 그리 고생하고 살았다는 이상희 어르신은 엄마가 한 번 와서 보고는 속병이 나서 고생한다고 다시는 안 왔다고 했다. 아마도 고생하는 모습을 보기가 속병이 날 정도로 힘들어서였을 게다. 살기가 힘들어 엄마가 돌아가시고 나서야 찾아갔다며 희미하게 미소 짓는 이상희 어르신의 주름 가득한 얼굴에서 그 엄마의 얼굴이 떠오른다.

맏이지만 제일 못살고 고생하는 딸을 위해 마음을 많이 써주셨다는 어머니에 대해 강애순 씨는 지금이라도 “단 하루만이라도 살아와서 하루만 나랑 같이 있어봤으면” 소원이 없겠다고 하셨다. “한 시간만이라도 살아오신다면 엄마한테 실컷 좀 안기고 싶다”는 강애순 씨의 목소리에서 촉촉한 물기가 느껴졌다.



부산에서 구성진 전라도 사투리를 쓰시는 어느 미용실 최금실 원장님은 첫 봐도 흥이 넘치시는 밝음과 청산유수의 언변으로 유재석과 조세호를 배꼽잡게 만들었다. 자신에게 보내는 영상편지를 10대부터 연령대별로 줄줄이 말씀하시는 ‘영상편지 전문가(?)’의 놀라운 상황극이라니. 하지만 그 연령대별로 내놓은 영상편지 속에서는 최금실 원장님의 삶 전체가 묻어났다. 즉석에서 시키는 노래도 척척 하시는 원장님이었지만, 유재석이 슬쩍 꺼내놓은 원장님의 손에서는 역시 쉽지 않은 노동의 흔적이 묻어났다. 마치 드라마 <눈이 부시게>의 행복미용실 원장을 보듯, 염색약 때문에 손톱 끝이 까맣게 된 원장님의 손.



갑자기 인터뷰를 한다는 말에 머리도 손도 엉망이라면서 저어하시던 선박 전기 수리 일을 해오신 이상연 사장님은 그 곳에서만 40년 간 이 일을 해오셨다고 했다. 경기도 포천이 고향이지만 먹고 살기 위해 온 부산에서 더 오래 사셨다는 사장님의 손은 말씀대로 새까만 하루의 고단함이 검게 묻어 있었다. 수리를 하기 위해 세계 안 다닌 데가 없다는 사장님은 젊어서는 그 힘들다는 외양선을 12년 간이나 타셨다고 했다. 배멀미에 쓸개즙까지 토해내며 버텨내셨고, 그렇게 일하러 다니느라 서른 살 먹은 아들과 30년 중에 겨우 한 8년을 같이 살았다는 사장님은 그러나 아무렇지도 않다는 듯 웃었다.

사장님이 사모님에게 불러주는 김종환의 ‘백년의 약속’에는 남편의 아내에 대한 고마움과 미안함이 그대로 녹아있었다. “내가 선택한 사랑의 끈에 나의 청춘을 묶었다. 당신께 드려야 할 손에 꼭 쥔 사랑을 이제야 보낸다. 내 가슴에 못질을 하는 현실의 무게 속에도 세상이 힘들 때 너를 만나 잘해주지도 못하고 사는 게 바빠서 단 한 번도 고맙다는 말도 못했다...” 아버지의 영상편지를 받은 장성한 아들은 “그동안 너무 고생하셨고 사랑합니다”라며 “다시 태어나도 아버지의 아들, 아니 딸로 태어나 아버지에게 애교도 많이 피우고 싶다”고 말했다. 마침 맞게 된 어버이날. 세상 모든 어버이들의 거친 손은 위대하다는 걸 <유 퀴즈 온 더 블럭>이 찾아간 부산의 어르신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