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백’이 이은 ‘비밀의 숲’ 이후 달라진 장르물

[엔터미디어=정덕현] 16부가 마치 한 편의 영화 같다. tvN 주말드라마 <자백>의 종영에 이르러 돌아보면 이 드라마의 밀도와 완성도에 새삼 놀라게 된다. 곁가지 사건들처럼 여겨졌던 것들이 하나하나 연결고리를 드러내고, 그 속에서 무관해 보였던 인물들이 과거사로 얽혀 있는 게 조금씩 드러난다. 그리고 결국 이 모든 사건이 어느 요정에서 벌어졌던 국방비리로 인해 비롯된 총성으로 귀결된다. 거대한 한 게이트를 열기 위해 조금씩 사건을 파헤치고 어렵고 더뎌도 진실을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가는 과정. <자백>은 그 과정을 놀랍게도 한 호흡으로 담아냈다.

보통의 장르물의 경우 여러 사건들이 등장하기 마련이다. 영화라면 한 사건을 다뤄도 되겠지만, 드라마는 적어도 16부를 이어가야 하기 때문에 한 사건으로 그걸 채우는 건 실로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러 사건들이 등장했을 때 생기는 문제는 이야기가 몇 회를 기점으로 뚝뚝 끊긴다는 점이다. 물론 주인공이 확실한 캐릭터를 세우고 그렇게 끊어진 이야기를 이어붙이는 역할을 해준다. 하지만 그래도 이렇게 병렬적인 사건의 나열은 작품의 밀도를 떨어뜨리기 마련이다.



하지만 <자백>은 하나의 사건과 그 사건을 은폐하기 위해 벌어졌던 또 다른 사건들을 연결함으로써 이런 문제를 해결했다. 블랙베어라는 차세대 헬기 도입에 대해 그 문제를 담은 문건을 작성한 차승후 중령이 대통령의 조카인 박시강(김영훈) 의원에게 우발적으로 총에 맞아 죽게 되고, 그 사건을 덮기 위해 그 자리에 있었던 추명근(문성근)과 오택진(송영창) 회장이 그 자리에 있던 최필수(최광일)에게 아들 최도현(준호)의 심장이식 수술을 대가로 살인범이 되도록 회유했던 것. 그 상황을 목격한 김선희는 이를 빌미로 추명근에게 돈을 요구하다 청부살해 당하고 당시 사건을 추적하던 진여사(남기애)의 아들 노선후 검사와 하유리(신현빈)의 아버지 또한 살해당한다.

즉 <자백>은 거대한 게이트와 그것을 감추기 위해 벌어진 또 다른 사건들이 존재했기 때문에 이 모든 이야기들을 하나로 묶어낼 수 있었다. 그래서 초반 드라마는 저들이 감추기 위해 저지른 ‘연쇄살인’처럼 위장된 청부살인을 추적하는 과정으로 시작하지만, 드라마가 중반을 넘어가면서 이 사건들이 단순한 살인이 아니라 무언가 더 큰 사건으로 이어진다는 걸 드러낸다. 사건 해결에 집중하던 시청자들이 ‘진상 규명’에 더 관심을 갖게 되고 끝까지 갈증을 느끼며 드라마를 들여다보게 만든 힘이 여기서 생겨났다.



법정물의 묘미와 사건을 추적해가는 과정을 담는 추리와 스릴러의 맛에 ‘비선실세’라는 그 단어만 들어도 실감하게 되는 현실인식과 공감을 넣어 <자백>은 재미와 의미를 모두 갖춘 완성도 높은 드라마를 선사했다. 꽤 단단한 연기를 보여준 이준호, 유재명, 신현빈, 남기애 같은 주인공들은 물론이고 역시 명불허전의 문성근, 송영창 게다가 류경수, 윤경호 같은 악역들까지 빈틈없는 배우들의 호연이 있었고, 이제는 믿고 보는 김철규 PD의 촘촘하고 섬세한 연출에 신예라고는 믿기지 않는 임희철 작가의 놀라운 대본이 삼박자를 이루며 <자백>이라는 명작을 탄생케 했다.

넓게 보면 <비밀의 숲> 이후 장르물들은 변화하고 있다. 과거처럼 캐릭터를 중심으로 여러 사건을 풀어나가는 장르물에서, 이제는 하나의 사건을 다각도로 풀어나가는 밀도 높은 장르물로 바뀌고 있는 것. <자백>은 이런 완성도 높은 시도가 충분히 가능하고, 또 그것이 복잡해 보여도 시청자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다는 걸 증명했다. 앞으로도 이런 완성도, 밀도를 가진 장르물들이 더 많아지길 기대하게 만든 작품이 아닐 수 없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