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날레 통과한 <대화의 희열2>, 마무리까지 훌륭하게 지은 시즌

[엔터미디어=TV삼분지계] ◾편집자 주◾ 하나의 이슈, 세 개의 시선. 각자의 영역을 가지고 대중문화와 관련된 글을 쓰고 있는 정석희·김선영·이승한 세 명의 TV평론가가 뭉쳐 매주 한 가지 주제나 프로그램을 놓고 각자의 시선을 선보인다. 엔터미디어의 [TV삼분지계]를 통해 전문가 세 명의 서로 다른 견해가 엇갈리고 교차하고 때론 맞부딪히는 광경 속에서 오늘날의 TV 지형도를 그려볼 수 있는 단초를 찾으실 수 있기를.

매주 새로운 프로그램들이 쏟아져 나오는 시대인 탓에, [TV삼분지계] 또한 한번 리뷰했던 프로그램을 구태여 다시 리뷰하는 경우는 그리 흔치 않다. 다시 언급해야 할 만큼 특별한 변화가 있는 프로그램도 드물거니와, 특정 프로그램을 반복해서 리뷰하는 것이 자칫 글 쓰는 이들이 지닌 편향성을 드러내는 일로 오인될까 두려운 까닭도 있다. 그러나 가끔씩 한 차례 더 찾아와 기록할 만한 가치가 있는 프로그램들이 있다. KBS2 <대화의 희열2>가 그렇다. 이미 [TV삼분지계]에서 시즌 초반에 한 차례 살펴봤던 프로그램이지만, 시즌이 마무리되는 자리에서 다시 한번 돌아볼 가치가 있다 싶었던 것이다.

정석희 평론가는 <대화의 희열2>가 게스트와 시청자 사이를 잘 중재해주는 안목을 칭찬했고, 김선영 평론가는 프로그램이 단순히 게스트와의 이야기에만 집중하는 게 아니라 그것을 매개로 우리 사회의 풍경을 조망하는 시야를 지녔음을 강조했다. 이승한 평론가는 시즌 초반 우려했던 성비의 문제가 후반부로 갈수록 점점 완화되는 광경을 보며 다음 시즌에 대한 기대를 표했다. 아래는 다음 시즌을 주문한 세 평론가의 <대화의 희열2>를 향한 편향성의 고백이다.



◆ 좋은 사람을 소개해주는 안목이 빛나는 프로그램

나이를 먹어가며 관계를 흐트러트리는 사람, 즉 이간질을 즐기는 사람을 멀리하게 된다. 근묵자흑이라고 남의 험담이 자꾸 귀에 와 닿다 보면 어느새 마음이 움직여서다. 요새 글을 잘 내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고. 나로서는 합당한 지적일지라도 마치 욕하자고 판을 벌이는 모양새가 아닌가. KBS2 <대화의 희열2>은 그와 반대로 좋은 사람을 소개시켜주는 프로그램이다. 이래도 안 좋아할래? 이래도 안 반할 테냐! 초대 손님이 속내를 털어 놓는 순간 좌중이 앞 다퉈 맞장구를 치는 장면이 언뜻 홈쇼핑 같기도 하다. 그러나 불량 부분이나 허술한 대목을 이렇듯 스스로 고백하는 홈쇼핑이 어디 있겠는가.



방송이 시간 내내 단 한 사람에 집중한다는 건 크나큰 도전이자 모험이다. 취향이 달라 아예 시청을 포기할 수도 있고, 보다 보니 지루해져 채널이 돌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다수의 토크쇼들이 안전장치 삼아, 구색 맞춰 여럿을 초대한다. KBS2 <해피투게더>나 MBC <라디오스타>처럼. 사실 <대화의 희열2> 예고 영상을 보며 ‘다음 주 어쩌지?’, 낙담했던 적이 몇 차례 있었다. 예를 들어 8회 초대 손님 유시민 씨의 경우 옳은 말은 분명 옳은 말인데 뒷맛이 쓴 오이 모양 껄끄러운 느낌이 남는 통에 오롯이 얘길 들을 자신이 없었다. 그런데 <대화의 희열2>가 화해시켜 줬다고 해야 하나? 갑장이어서인지 어떻게 살지, 어떻게 죽을지에 대한 관점이 비슷해서 놀랐고 2회 편성 또한 기꺼이 수용할 수 있었다. 그 이후로는 어느 누가 초대되든 걱정을 안 한다. 이젠 주인이 권하는 대로 믿고 사는 단골집이 된 것이다. 벌써부터 다음 시즌이 기다려진다.

정석희 방송 칼럼니스트 soyow59@daum.net



◆ <대화의 희열2>가 보여준 말의 품격과 무게

“우리가 진짜 많은 대화를 나눴는데 그 대화들이 어디론가 사라진 것 같아 보여도 어디엔가 저장되지 않았을까.” <대화의 희열2> 마지막 회에서 작가 김중혁이 남긴 소회는 이 프로그램의 의의를 잘 말해준다. 시즌2 세 번째 게스트 배철수의 이야기 중 ‘쌀로 밥 짓는 (당연한) 소리는 방송가의 금기’였던 시대를 지나 오히려 방송이 말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데 앞장서는 시대에, 이 프로그램은 실로 오랜만에 정통 토크쇼의 깊은 맛을 제대로 느끼게 한 쇼였다.

이는 진행자 유희열이 시즌2 마지막 게스트인 배우 이정은을 소개하면서 “시즌1과 2를 통틀어 한 번도 안모신 분야”라고 이야기한 데서도 드러난다. <대화의 희열2>는 대중적 관심이 가장 높은 연예계 이슈에 기대지 않고,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을 초대해 그들과의 속 깊은 이야기를 통해 더 넓은 세상을 보여주는 방식을 택했다. 게스트는 모두 한 분야의 일가를 이룬 이들이지만, 이 프로그램은 그들의 입지전적 스토리에 집중하기보다 그가 속한 분야에 관한 탐구와 더 나가 우리 사회를 향한 메시지를 담아낸다.



마지막 회에서 이정은이 ‘최근 들어 유독 바빠진 이유’를 답하는 장면이 대표적이다. 영화 <미성년> 속의 강렬한 ‘방파제 여인’ 연기를 예로 들면서, 이정은은 과거에 비해 ‘여성과 중간 배역들에게 주어지는 캐릭터가 다양해졌다’고 이야기한다. 한 개인의 뛰어난 능력으로 일군 성공이 아니라, 자신과 같은 중년 여성 배우들에게 ‘엄마, 이모, 고모’ 역할을 벗어나 차츰 개성적 배역을 부여하는 한국 영상계의 변화된 현실을 짚는 것이다. 이정은의 말처럼 ‘전설적인 후일담’으로 소비될 수 있는 재료들이 이 프로그램의 테이블 위에서는 ‘지금 우리 시대’를 성찰하게 하는 말로 다가온다. 그때야말로 ‘대화가 어딘가에 저장되는 순간’이 아닐까.

김선영 칼럼니스트 herland@naver.com



◆ 갈수록 더 나아진 희귀한 프로그램

초반 홍보와 평가가 시즌 전체의 흥행을 좌우하는 경향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다채널 시대 경쟁이 가속화되며 이 경향 또한 점점 더 심해진다. 프로그램의 제작 역량이 온통 시즌 초반에 몰리고 뒤로 갈수록 힘이 빠져 뒷심 없이 끝나는 현상이 흔한 일이 되어가는 것이다. 시즌 초반에 기대감을 가지고 호평을 했다가, 시즌 마무리 무렵에 영 시시해진 광경을 보며 실망하는 경우가 어디 한 둘인가.

다행스럽게도, KBS2 <대화의 희열2>는 마지막까지 제작진이 중심을 놓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오히려 시즌이 뒤로 갈수록 점점 더 개선되는 드문 사례가 되었다. 게스트의 삶의 궤적을 천천히 되짚으면서 그의 오늘을 빚어낸 사건과 생각들을 우직한 토크로 채워 나가는 충실한 태도는 시즌 마지막까지 유지됐고, 그들의 삶을 매개로 한국 사회의 저력과 한계를 모두 비추어보는 프로그램의 시야 또한 밸런스를 잃지 않았다.



시즌 초반 “여전하다”고 지적했던 성비 문제는 시즌 후반부로 가면서 다양한 분야의 여성 게스트를 모시면서 완화가 되었다. 특히나 신지혜 기자가 딸이 자신과 같은 삶을 살지 않기를 바라는 어머니의 마음을 헤아리기 시작한 순간을 회고하던 조수미의 이야기를 온전히 이해하고 그 위에 자신의 경험을 얹어서 이야기를 더 풍성하게 만든 장면은 시즌 1에서였다면 포착하기 어려웠을 순간이었다.

이러한 변화는 프로그램 제작진이 게스트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것만큼이나, 프로그램을 둘러싼 담론의 지형에도 귀를 기울이고 있었다는 증거처럼 보인다. 자신이 지닌 고유의 특성을 지키되, 더 개선해야 할 점이라 지적 받은 부분을 점진적으로 고쳐 나가는 것, 그것이야말로 타인과의 대화가 줄 수 있는 가장 긍정적인 효과가 아닐까. 그런 의미에서 <대화의 희열2>은 모셔온 게스트와의 대화에 충실한 것을 넘어서, 한국 사회와의 대화에도 충실했던 프로그램으로 기록될 법하다. 갈수록 나아지는 대화라니, 다음 시즌을 기대해 볼 법하다.

이승한 칼럼니스트 tintin@iamtintin.net

[영상·사진=K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