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저 잘 차려진 밥상을 지켰을 뿐이라는 ‘1박’ 유호진 PD

[엔터미디어=정덕현] “새로운 메뉴를 개발하고 새로운 손님을 모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기존의 단골들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KBS 예능 <1박2일> 시즌3 2주년을 맞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유호진 PD가 한 이 이야기는 간단하지만 지금껏 시즌3가 어떻게 이 장수예능을 되살렸는가를 잘 말해준다.

사실 시즌2만 해도 <1박2일>은 끝났다는 얘기가 많았다. 시즌1이 워낙 큰 성과를 냈던 터라 뚝 떨어진 시청률은 이런 이야기를 증거하는 지표처럼 거론되었다. 그래서일까. 시즌2는 여행보다 게임에 더 몰두하는 모습이었다. 그만큼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강박 같은 것들이 생겼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그럴수록 <1박2일>은 본질을 잃어갔다. 의미를 잃어버리자 재미도 반감됐다.

이런 상황에서 시즌3를 맡게 되었으니 유호진 PD의 고민이 얼마나 컸을까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을게다. 하지만 유호진 PD는 의외로 쉽게 이 모든 위기의 징후들을 뛰어넘어 버렸다. 가장 먼저 한 것은 <1박2일> 특유의 조금은 촌스러워도 어딘지 정감이 가는 그 훈훈한 정서를 만들었다는 점이다. 우리의 구탱이형 김주혁은 그 중심을 잡아주었고, 김준호는 그 위에서 웃음의 포인트를 놓치지 않았다. 정준영 같은 에이스는 막내 같지 않은 막내로 자칫 나이로 서열이 맺어질 것 같은 그 관계를 여지없이 깨는 인물로 자리했다.

‘서울특집’에서 부모님들의 사진 속 공간에 그 자식들이 들어가 비슷한 포즈로 사진을 찍는 장면은 <1박2일> 시즌3의 상징 같은 풍경으로 남았다. 꽤 많은 곳을 여행했고 그래서 어떤 경우에는 겹쳐지는 공간도 있지만 그것이 식상한 게 아니라 어느 때 누구와 함께 그 공간에 가느냐에 따라 다른 이야기가 가능하다는 걸 그 장면은 보여주고 있었고, 또 그 곳에 남아있는 과거의 이야기가 오롯이 추억으로 떠오를 수 있다는 것도 담겨 있었다. 여행이란 하나의 추억을 남기는 일이라는 걸 <1박2일> 시즌3는 대단할 것 없지만 꽤 떠들썩하게 한바탕 놀아보는 왁자함으로 보여줬다.



출연자들의 관계가 끈끈해지고 그런 관계를 바라보는 시청자들과도 어떤 관계가 맺어지기 시작하자 <1박2일>은 시즌1이 그러했던 것처럼 복불복만 해도 재미있는 프로그램이 되었다. 물론 그러면서도 그 날 갔던 여행지에 대한 특별한 정보들을 놓치지 않는 것이 <1박2일>이 가진 본연의 색깔이라는 걸 유호진 PD는 잘 알고 있었다.

결국 유호진 PD가 <1박2일>을 부활시킬 수 있었던 건 이번 기자간담회에서 말한 것처럼 무언가 새로운 맛을 내려고 해서가 아니라 기존 <1박2일>이 갖고 있는 그 맛을 지켜내려 했기 때문이다. 그건 너무 쉬운 일이 아니냐고? 절대 그렇지 않다. 대부분의 시즌2나 속편이 어긋나는 건 새로운 걸 시도하려 하기 때문이다. 특히 새로운 PD가 프로그램을 맡게 되면 이전과는 다른 무언가를 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것이 이전의 실적과는 다른 자신의 실적을 만들어낼 수 있는 일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호진 PD는 그 성격 그대로 선배들이 잘 차려놨던 그 밥상을 잘 지켜내는 겸손함으로 시즌3를 만들어왔다. 물론 조금씩 자기만의 색깔을 특집에 넣어 변화를 시도하기도 했지만 결코 <1박2일>이라는 궤도 바깥으로 나가는 일은 없었다. 그래서 <1박2일>의 단골들은 그 변함없는 맛에 늘 찾아와도 만족하게 됐던 것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K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