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어게임’ 다음은 ‘지옥’?, 단 하루 만에 넷플릭스 1위 등극

[엔터미디어=정덕현의 네모난 세상] <오징어게임> 다음은 <지옥>인가.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지옥>이 공개 단 하루 만에 넷플릭스 전 세계 TV시리즈 순위 1위에 올랐다. 이것은 <오징어게임>이 시리즈가 공개된 지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후 1위에 오른 기록보다 훨씬 앞선 성적이다. 외신 반응들도 심상찮다. 미국의 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토마토는 신선도 지수 100%를 기록했고, 비평가들도 신선하다는 반응이 쏟아지며 시즌2에 대한 기대감을 표하기도 했다. 그래서인지 <오징어게임> 다음은 <지옥> 아니냐는 이야기가 솔솔 피어나고 있다.

도대체 <지옥>의 무엇이 이런 반응들을 하루 만에 만들고 있을까. 그것은 먼저 <오징어게임>이 만든 후광효과가 분명한데다, <지옥>으로 돌아온 연상호 감독의 도발적이며 참신한 상상력이 파괴력을 만들어내고 있어서다. 어느 날 갑자기 난데없이 나타난 괴생명체들(그들을 사람들은 지옥의 사자들이라 부른다)이 대낮 도시 한 복판에서 한 남자를 사정없이 구타하더니 순식간에 앙상한 뼈만 남은 재로 만들어버리는 충격적인 사건으로 드라마는 시작한다.

보통의 서구의 미스터리 스릴러 장르라면 도대체 이 괴생명체가 무엇이고 그것과 맞서 싸우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로 그려질 게다. 하지만 <지옥>은 이런 통상적인 장르적 문법을 따라가지 않는다. <지옥>은 이 미스터리한 존재들의 정체를 추적하기보다는, 이런 존재들이 만들어내는 인간군상에 더 집중한다.

정진수(유아인)라는 신흥종교 새진리회의 수장이 나타나 이 사건을 ‘신의 계시’라 설파하고, 그러면서 지옥행을 ‘고지’ 받고 ‘시연’ 당하는 존재들이 죄인이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전한다. 불가항력적인 존재에 대한 막연한 공포와, 죽을 운명이 구체적인 시간으로 제시되는 묵시록적 상황 속에서 인간은 어떻게든 삶과 죽음의 이유를 찾으려 한다.

새진리회는 그런 욕망들을 이용해 세력화하고 때론 자신들의 세력에 위협을 주는 이들을 화살촉이라는 새진리회의 광적 추종자들을 이용해 테러를 가하기도 한다. 물론 이들의 실체를 알고 맞서는 이들도 등장한다. 변호사였다가 저들과 싸우게 된 민혜진(김현주)이나, 그 사건을 ‘살인사건’이라 부르며 추적하는 형사 진경훈(양익준), 새진리회의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다가 자신의 아기가 지옥행 고지를 받게 되면서 새진리회의 거짓과 맞서게 되는 배영재(박정민) 같은 인물이 그들이다.

이처럼 <지옥>은 지옥의 사자로 불리는 괴생명체들의 등장과 그들에 의해 벌어지는 지옥행 이라는 ‘불가항력’ 혹은 ‘정해진 운명’ 앞에서 인간이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에 집중하는 드라마다. 그래서 <지옥>은 신과 인간, 종교적인 문제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문제작이다. 연상호 감독의 말처럼, ‘논쟁적인 작품’일 수 있다는 것.

하지만 이처럼 무거운 주제의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드라마가 시종일관 장르적 몰입감을 선사한다는 건 <지옥>이 가진 특별함이다. 이것이 가능해진 건 사실상 재난이나 운명이라고도 불릴 수 있는 추상적 개념들을 ‘지옥의 사자’ 같은 괴생명체들로 캐릭터화 했기 때문이다. 또 그 괴생명체가 누구인가를 질문하지 않고(이들은 사실상 상징이나 마찬가지다. 운명이나 신 같은)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인간들의 선택과 이로 인한 갈등양상에 집중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사실상 재난처럼 죽음은 별 의미도 맥락도 없이 우리를 찾아온다. 하지만 이 무의미함이 주는 공포를 인간은 이겨내지 못한다. 그래서 의미와 질서를 부여하려 하고, 죽음을 의례화하려 한다. 하지만 그것이 과연 진실인가 하는 질문을 <지옥>은 던지고 있다. 그러면서 진짜 지옥이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공포 속에서 인간들의 욕망이 만들어내는 아귀다툼. 그것이 지옥이다.

<오징어게임>도 그랬지만 최근 들어 글로벌한 인기를 끄는 K드라마의 특징 중 하나는 묵직하고 철학적인 주제의식을 담으면서도 장르물의 경쾌함과 몰입감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지옥>도 이러한 특징을 고스란히 담은 글로벌 문제작이 되지 않을까 싶다. 그저 스릴러 장르에 빠져들어 드라마를 보면서도 그것이 은유적으로 그려내는 신과 인간에 대한 다양한 담론들을 그 안에서 만날 수 있어서다.

배우 유아인은 <지옥>에 대해 제목이 너무 셌고, 시나리오를 보고는 “미쳐버렸다”고 말한 바 있다. 실제로 <지옥>은 유아인의 이 말이 그저 과장만은 아니라는 걸 이해할 수 있는 작품이다. 그 어떤 작품이 신과 인간에 대한 이토록 묵직한 질문들을 이렇게 몰입감 높은 경쾌함으로 풀어낸 적이 있었던가.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넷플릭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